KAIST, 생체조직 표면서 심부까지 측정 '전도성 하이드로젤 소재' 개발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물질 기반 전극 패터닝 기술 모식도.(KAIST 제공)/뉴스1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한 전도성 고분자 물질 기반 전극 패터닝 기술 모식도.(KAIST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생체조직 접촉 시 손상을 최소화하고 3D 마이크로니들 구조로 조직표면부터 심부까지 측정할 수 있는 전도성 하이드로젤 소재를 개발해 주목된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스티브 박 교수, 바이오및뇌공학과 박성준 교수 공동연구팀이 3D 프린팅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생체전자소자를 쉽고 빠르게 제작할 수 있는 전도성 고분자 기반 전극 물질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도성 고분자를 나노미터 크기의 콜로이드 형태로 가공해 유화 작용을 유도함으로써 잉크의 유변학적 특징을 개선하고 생체적합성에 악영향을 미치는 독성 물질을 원심분리 공정을 통해 제거함으로써 3D 프린팅이 가능하면서 후처리 공정이 필요 없는 고전도성 하이드로젤 잉크를 개발했다.

이는 기존 2D 전극 패터닝 기술로 접근하기 어려웠던 한계점을 극복해 원하는 위치 및 심부 영역의 뇌 신경세포를 자극 및 측정할 수 있다.

또 3D 프린팅을 통해 피부에 부착하는 헬스케어 모니터링 소자부터 생체 삽입형 소자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스티브 박 KAIST 교수

박 교수는 "기존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해 제작되는 전자소자의 경우 전도성 및 생체적합성을 개선하기 위해 장시간 및 복잡한 형태의 후처리가 필요해 래피드 프로토타이핑을 장점으로 가져갈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의 모든 장점을 이용할 수 없었다”며 "개발한 기술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해 환자 맞춤형 바이오 전자소자 및 다양한 3D 회로 응용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ˮ고 말했다.

KAIST 신소재공학과 오병국 박사과정과 백승혁 석사, 바이오및뇌공학과 남금석 석박사통합과정이 공동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지난 7월 11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