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AIST·서울대 연구팀,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 규명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전사 종결방식의 차이.(KAIST·서울대공동연구팀 제공)/뉴스1
바이러스와 세균에서 전사 종결방식의 차이.(KAIST·서울대공동연구팀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국내 연구진이 바이러스와 세균의 진화를 규명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생명과학과 강창원 명예교수와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홍성철 교수 공동연구팀이 세균의 리보핵산(RNA) 합성방식 두 가지 중 하나가 바이러스에는 없다는 것을 발견해 세균이 바이러스로부터 진화하면서 획득한 방식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19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균바이러스의 RNA 중합효소를 연구해 생물로 진화하기 이전 태초의 RNA 합성(전사) 방식을 밝혀냈다.

RNA 중합효소는 유전자 DNA의 유전정보에 따라 RNA를 합성하는 효소를 말한다.

연구팀은 세균바이러스의 방식이 세균이나 효모와 사뭇 다르다는 것을 밝혔다.

바이러스의 경우 재생종결 없이 해체종결만 일어나는 것인데, 이를 토대로 연구팀은 RNA 중합효소가 세균에서 바이러스와 달리 적응하면서 해체종결에 재생종결이 추가돼 두 방식이 공존하게 됐고 최소한 효모로의 진화에서 그대로 보존됐다는 해석을 내놓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거푸집 DNA와 전사물 RNA에 각기 다른 형광물질을 부착해 전사 복합체 하나하나의 형광을 실시간으로 측정하는 단일분자 형광기술 연구기법을 사용했다.

전사 종결로 RNA가 방출될 때 DNA가 효소에 붙어있는지 떨어지는지를 낱낱이 구별할 수 있게 설계한 것이 특장점이다. 형광물질이 전사 반응에 지장을 주지 않도록 하는 게 관건이었다.

KAIST 송은호 박사후연구원과 한선 박사과정 대학원생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의 성과는 학술지 '핵산연구'에 지난 16일 게재됐다.

memory444444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