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수막염이 영유아에 더 치명적인 이유는 '미성숙한 뇌수막 면역장벽'

기초과학연, 뇌수막 대식세포의 역할 강조

생쥐 연령에 따른 경막 내 면역세포 분포의 차이.(IBS 제공)/뉴스1

(대전=뉴스1) 김태진 기자 = 뇌수막염이 영유아에게 더 치명적인 이유가 미성숙한 뇌수막 면역장벽에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 주목된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고규영 혈관연구단장과 김영찬 연구원(서울대병원 내과 전임의), 안지훈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영유아가 뇌수막염에 취약한 원인이 미성숙한 뇌수막 면역장벽임을 새롭게 규명했다고 10일 밝혔다.

이와 함께 바이러스의 뇌 침입 감염을 방어하는 뇌수막 면역장벽의 핵심으로 뇌수막 대식세포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는 중추신경계를 보호하는 대식세포의 역할과 뇌수막염 발생 기전에 대해 새로운 방향을 제시한 것이다.

우리 인체는 가장 중요한 장기인 뇌를 보호하기 위해 뇌 안쪽으로 촘촘한 혈액-뇌 장벽, 뇌 바깥쪽으로는 뇌수막이 둘러싸 외부에서의 유해물질 침입을 차단하고 있다.

이상 면역반응이 일어나지 않도록 면역세포 이동이 특정 관문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도록 보호한다.

이러한 관문 역할을 하는 곳을 중추신경계 경계라 일컬으며 대표적으로 뇌수막이 있다.

뇌 전반을 감싸고 있는 뇌수막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한 경막, 거미막, 그리고 뇌에 인접한 연질막으로 구성되며, 이 뇌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병을 뇌수막염이라고 한다.

뇌수막염의 가장 흔한 원인은 바이러스, 세균, 진균에 의한 감염으로 알려져 있으나 혈액을 통해 인체 내부로 침투한 감염원(코로나바이러스-2 포함)이 어떻게 뇌수막이나 뇌까지 도달하는지에 대해선 명확하게 알려지지 않았다.

또 영유아에서 치명적인 뇌수막염을 일으키는 원인균은 보통 성인에서는 뇌수막염을 일으키지 않는데 그 이유는 수수께끼로 남아있었다.

이에 연구팀은 중추신경계 경계 부위 세부 조직인 경막, 연질막, 맥락막총의 각각의 특성을 비교해 뇌수막의 가장 바깥 부분인 경막이 뇌척수액과 혈류 양측이 교류할 수 있어 감염에 취약한 조직임을 확인했다.

특히 경막에 있는 정맥동혈관이 뇌수막염 바이러스의 이동 경로임을 밝혔다.

또 영유아와 성인에서 나타나는 뇌수막염의 감염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뇌수막염 바이러스 감염 생쥐 모델을 비교 분석했다.

그 결과 어른 생쥐(생후 28일)에서는 바이러스 감염이 뇌수막으로 진행되지 않았으나 새끼 생쥐(생후 7일)에서는 뇌수막염 바이러스가 경막의 정맥동혈관으로부터 뇌에 퍼지면서 염증이 악화되고 생존율이 10%로 크게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감염 차이의 원인을 경막 내 면역세포에서 찾았다.

또 면역세포에 대한 단일세포 유전자 분석법으로 분석한 결과, 새끼 생쥐에는 어른 생쥐에서 보이는 성숙한 면역세포가 다양하게 관찰되지 않았다.

이 밖에도 각 면역세포에 대한 제거 항체를 투여하거나, 선택적으로 면역세포가 제거된 유전자 변형 생쥐 모델을 통해 경막 대식세포가 바이러스 감염으로부터 뇌를 보호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왼쪽부터 기초과학연구원 김영찬 연구원, 안지훈 선임연구원, 고규영 혈관연구단장. /뉴스1

김영찬 연구원(제1 저자)는 “이번 연구는 혈액-뇌 장벽의 미성숙으로 인해 영유아가 뇌척수막염에 취약하다는 기존의 학설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했다”며 “연구를 통해 영유아에서 뇌수막염이 치명적인 새로운 원인을 밝히고 뇌수막 정맥동혈관주변 면역세포가 바이러스 감염 보호에 중요하게 작용함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안지훈 선임연구원(공동교신저자)은 “이번 연구는 뇌수막 면역 개선을 통한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영유아가 바이러스성 뇌수막염에 취약한 이유를 밝혔다"며 "뇌수막의 역동적인 역할에 대한 이정표를 세운 성과”라고 했다.

고규영 단장(공동교신저자)은 “뇌수막에 다량 존재하는 면역세포, 혈관 및 림프관 등의 긴밀한 소통 체계가 어떻게 우리 몸의 가장 중요한 장기인 뇌를 외부 유해 병원균으로부터 보호하는지 알게 됐다"며 "이는 뇌의 인지기능, 신경계질환, 감염질환 등에 대한 전혀 새로운 이해를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이뮤놀로지’ 온라인에 지난 7일 게재됐고, 표지 논문으로 선정됐다.

memory444444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