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사라진다는데’ 5년간 부산 떠난 기업도 1000개 ‘육박’…왜?
인구소멸지수 위험단계…2050년 여성 절반 이상 감소 전망
부울경 메갈로폴리스 중요 모멘텀…공공기관 이전 속도내야
- 손연우 기자
(부산=뉴스1) 손연우 기자 = 부산이 전국에서 가장 빠르게 2030 인구가 줄어들고 있다는 통계 결과가 나오면서 지역 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부산에는 노인과 바다 밖에 없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한국고용정보원은 최근 발간한 보고서에서 소멸위험지수값이 0.49로 위험단계에 들어섰다고 발표했다. 인구소멸지수는 40세 미만 성인 여성 인구를 65세 이상 인구수로 나는 값으로 0.5 미만일 경우 소멸위험지역, 0.2 미만일 경우 소멸고위험지역으로 분류된다.
이와 함께 2050년 부산의 20~30대 여성인구는 절반 아래로 감소하는 반면 65세 이상 인구는 3분의 2 정도 증가할 것으로 전망돼 소멸 위험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됐다. 지난해 기준 부산 인구는 328만 명, 인천은 301만 명이다. 이대로 가다가는 머지않아 인천에 따라잡힐 가능성이 크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부산의 인구소멸은 저출산이라는 근본적인 문제와 청년 일자리 부족이 가장 큰 원인으로 꼽고 있다.
시는 인구정책담당관을 신설하는 등 인구 유입을 위한 다양한 정책을 발굴·추진 중이지만 제2의 도시임에도 매력적이거나 안정적인 직장이 다른 지역에 비해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이 청년들의 중론이다.
현재 부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은 전국 2703곳 중 85곳으로, 제2의 도시임에도 충남(108곳)과 충북(91곳)에 비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에 본사를 둔 상장 기업 가운데 1조 원 이상의 상장 기업은 금양과 BNK금융지주 밖에 없다. 최근 5년간 부산을 떠난 법인 수도 950여 개에 달한다.
일부 전문가들은 인구 유출의 문제는 부산만의 문제가 아닌 데다 동남권(부산, 울산, 경남) 순인구유출률이 경제권역 중 가장 큰 만큼 동남권 메갈로폴리스(여러 대도시가 확장·연결로 형성된 광역도시권)에 대해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있다.
메트로폴리탄(대도시)에서 메갈로폴리스로의 관념 변화를 통해 수도권 일극체제를 극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춰야 지방소멸 문제가 해결된다는 것이다. 행정통합을 통한 광역경제권 활성화로 지방 소멸을 막아야 한다는 취지로 보여진다.
BNK금융그룹 소속 BNK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10년간 동남권 인구 순유출 규모는 28만8000여 명에 달하며 경제권역 중 가장 컸다. 다음으로 대경권(19만5000명), 호남권(15만9000명) 순이었다.
시도별로는 경남(11만8000명), 부산(11만5000명), 울산(5만5000명) 순이었으며 동남권 시군구 43개 중 40개 지역의 전출인구가 전입인구를 웃도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산 16개 구군 중 14곳, 울산 5개 구군 모두, 경남 21개 시군구 중 21곳으로 집계됐다.
김석수 부산대 경제학과 교수는 "부울경 광역연합 개념의 메갈로폴리스는 수도권과 양대 축을 이뤄 정주 인구의 생활 환경을 좋게 만들어 국토균형발전을 이루는 중요한 모멘텀"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공공기관 이전도 어느 정도의 성과는 있었다고 판단된다"며 "공공기관의 이전을 통해 사기업의 이전도 일어나는 효과의 연쇄작용으로 볼 때 2차 공공기관 이전을 빠르게 진행하고 행정통합을 넘어 생활경제가 통합되는 일본의 케이한신권(교토, 오사카, 고베 등 3개 도시를 주축으로 한 도시권)과 같은 형태의 발전 모델을 추구해야 한다"고 제시했다.
syw5345@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