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척 흥전리 사지' 사적 지정…"신라 '승관제도' 실증하는 유적"

삼척 흥전리 사지 전경. (문화재청 제공)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강원도 삼척시에 있는 삼척 흥전리 사지(寺址·사찰터)가 국가지정문화재가 됐다.

문화재청은 '삼척 흥전리 사지'를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28일 밝혔다.

이 절터는 문화재청이 2014년부터 2017년까지 불교문화재연구소과 함께 실시한 중요 폐사지 시·발굴 조사를 통해 주목받았다.

총 9차례 이뤄진 조사 결과 완전한 형태의 청동정병(靑銅淨甁) 2점과 인주까지 함께 남아 있는 인주함, 금동번(金銅幡·깃대) 투조장식판, 금동사자상 등이 출토됐다.

삼척 흥전리 사지에서 출토된 청동정병. (문화재청 제공)

또한 이곳이 통일신라 후기에서 고려 전기 시대에 강원도 동부 지역의 유력한 선종사원이었음을 입증하는 유물인 '국통'(國統·신라시대 국왕의 고문 역할을 한 승려를 지칭), '대장경'(大藏經) 글자가 새겨진 비석조각과 '범웅관아'(梵雄官衙) 글자가 새겨진 청동관인 등이 출토됐다.

범웅은 석가모니·부처, 관아는 승관(僧官)의 도장이라는 의미다. 승관은 교단이나 승려의 관리 등을 위해 중앙과 지방에 임명된 관리를 뜻한다.

문화재청은 "삼척 흥전리 사지는 그동안 문헌으로만 확인됐던 신라 승관 제도를 실증하는 유적으로 지방 세력을 견제해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한 통일신라의 통치 방식을 엿볼 수 있다"고 밝혔다.

범웅관아(梵雄官衙)가 새겨진 청동관인. (문화재청 제공)

이뿐만 아니라 불교미술의 뛰어난 예술성과 수준 높은 기술력을 보여주는 출토 유물과 다원식 공간 배치 및 다양한 형태와 시설을 갖춘 건물지들은 여러 학문 분야에서 학술 가치가 높은 유적으로 평가된다.

다만 문화재청은 발굴조사에서 나온 기와나 비석 조각에서 절 이름을 추정할 만한 단서가 확인되지 않아 지명인 '흥전리'를 넣어 명칭을 정했다고 설명했다.

cho8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