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자 한통에 재산 털어가는 '스미싱' 피해, 상반기에만 88만건"

[국감브리핑] QR코드 이용한 '큐싱' 등 신종 범죄 유형 기승
5년 새 피해액 36배 증가…"스미싱 신고 시스템 구축 필요"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정부 대응에도 불구하고 '스미싱'(Smishing) 피해가 대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스미싱은 문자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메시지 내 인터넷주소 클릭을 유도해 개인·금융정보를 탈취하는 신종 범죄다.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이 10일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으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해 1~6월 휴대전화 불법 스팸 신고는 총 2억 1751만 637건으로 집계됐다. 이 중 스미싱 피해 신고는 88만 7859건으로 지난 2020년(95만 843건) 이후 가장 많았다.

같은 당 이상휘 의원은 공공기관, 지인 등을 사칭하는 문자 발송의 비중이 높아지며 스미싱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2019년 4억 원이던 스미싱 피해액은 지난해 144억 원으로, 5년 새 36배나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2022년부터 올해 8월까지 발생한 문자 사기 유형을 분석한 결과 공공기관을 사칭한 유형은 16만건이었다. 청첩·부고장 등 지인 사칭형도 27만건으로 증가세다. 특히 올해는 투자·상품권 사칭형이 2만건으로 전년 대비 크게 늘었다.

사기 수법도 날로 교묘해지고 있다. 최근에는 QR코드를 활용한 '큐싱' 범죄도 기승을 부린다. 사용자가 QR코드를 스캔하면 악성 코드가 들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특징이다.

특히 범죄자들이 QR코드 스캐너에 특수 필름을 일일이 붙여 가며 범죄를 노리는 탓에 아직 뚜렷한 기술적 예방책이 마련되지 않은 상황이다. 카카오톡이나 텔레그램 메신저 앱에서 금전이나 금융거래 정보 등을 요구하는 메신저 피싱 피해도 늘고 있다.

이상휘 의원은 "이용자가 스미싱으로 의심되는 악성 링크를 직접 신고하는 방식은 예방이 아닌 피해 신고로 '사후약방문'에 불과하다"며 "카카오톡 등 민간 플랫폼과의 협의로 국민들이 쉽게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cho8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