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의제기만 하면 '낙인' 네이버 뉴스…운영 신중해야[기자의눈]

네이버, 온라인 정정·반론보도 청구제도 운영…접수 시 즉시 꼬리표
언중위 중재·법원 판단 등 설명 기회 없이 '잘못된 기사' 낙인 우려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네이버 본사. (뉴스1 DB) /뉴스1 ⓒ News1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낙인'(烙印)

쇠붙이를 불에 달구어 찍는 도장이다. 불명예스럽고 욕된 판정이나 평판을 이르는 말로 더 자주 쓰인다. 낙인은 해명의 기회를 주지 않는다. 찍히는 즉시 차별과 비난, 혐오의 대상이 될 우려가 크다.

이런 측면에서 네이버(035420)가 내놓은 뉴스 정책 개편안에 아쉬움이 남는다.

정정 또는 반론 요청이 들어온 기사 본문 최상단에 '정정보도 또는 반론보도 청구 중'이란 알림 표시를 붙이는 방안이 담겼는데 해명할 틈도 없이 잘못된 기사라는 꼬리표가 달릴 가능성이 있다.

가짜뉴스 피해는 물론 막아야 한다. 오래 걸리더라도 바로 잡는 게 맞다. 4월 총선을 앞두고 네이버 '뉴스혁신포럼'이 개편을 권고한 배경이다.

그런데 방식이 지나치다.

엄연히 언론중재위원회 중재가 있고 법적 절차를 밟을 수도 있다. 이번 정책은 이런 절차를 건너뛰고 정정·반론 요청만 신청하면 정정·반론 보도 청구 중이란 딱지가 붙는다는 게 핵심이다.

언론사는 언중위 중재나 법원 판결을 통한 해명 기회조차 얻지 못하고 이를 감내해야 한다.

독자 혹은 취재 대상이 불편한 내용인지 여부는 언로를 틀어막을 근거가 되지 않는다.

당사자가 기사를 불편해 한다는 이유로 해당 기사에 잘못됐다는 뉘앙스의 딱지를 제약없이 달 수 있도록 허용할 경우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건 누구인지도 고민해야할 문제다.

빈대 잡으려다 초가삼간 태운다는 속담이 있다. 자의든 타의든 언로를 가로막을 수 있는 정책에 기업이 나서는 모습도 우려가 된다.

다행인 부분은 네이버가 이런 우려를 인지하지 못할 정도로 허술한 기업은 아니라는 점이다. 1위 플랫폼인 네이버가 논란이 될 수 있는 정책을 어떻게 운영해 나갈지 지켜볼 일이다.

cho84@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