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세플라스틱 축적지' 규명 김승규 교수, 이달의 과기인상

김승규 인천대학교 해양학과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4.06.12 /뉴스1
김승규 인천대학교 해양학과 교수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24.06.12 /뉴스1

(서울=뉴스1) 김승준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6월 수상자로 김승규 인천대학교 해양학과 교수를 선정했다고 12일 밝혔다.

과기정통부와 연구재단은 김승규 교수가 육상-연안-대양-극지방을 아우르는 지구적 규모의 플라스틱 순환·이동·축적 메커니즘을 규명하고 북극 해양이 미세플라스틱의 중요한 축적지임을 정량적으로 밝힌 공로를 높이 평가했다고 설명했다.

해양 미세플라스틱은 온실기체 배출, 물질순환 교란, 해양의 용존산소 감소, 종 조성 및 군집 변화 등 지구 시스템 모든 영역에서 교란을 야기한다.

지구적 규모의 시스템 교란 문제를 규명하려면 지구 시스템 내부에서 플라스틱이 어떤 방식으로 움직이고 축적되는지 이해해야 한다. 하지만 과거 해양에 투입된 것으로 추정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양보다 현재 존재하는 것이 적게 추산되는 한계가 있었다.

김승규 교수는 해양을 수평적(연안·대양·극지방), 수직적(표층·중층·심해·해저면)으로 나누어 미세플라스틱이 주로 축적되는 지역을 찾는 게 문제해결의 시발점이라 판단했다.

이를 파악하려고 김 교수는 국내 유일 쇄빙연구선인 아라온호를 이용한 서북극해 탐사 자료와 세계적 차원의 해양 플라스틱 물질수지를 계산했다.

그 결과 과거 추산에서 누락됐던 해양 미세플라스틱 상당량이 북극해에 축적돼 있음을 확인했다.

또한 여름철 녹지 않고 남아있는 서북극해 바다 얼음이 물리적 장벽으로 작용해 미세플라스틱이 바다 얼음 경계선 근처에 축적돼 있으며 식물 플랑크톤과 응집체를 구성해 해저로의 침강·퇴적이 많이 일어난다는 점도 규명했다.

이런 연구는 미세플라스틱의 전 지구적 순환과 물질수지 균형을 맞추는 데 기여했으며 관련 내용은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어드밴스'에 게재됐다.

김승규 교수는 "지금 당장 플라스틱 해양 배출을 극적으로 줄여도 북극해까지 이동시간을 고려하면 미세플라스틱 오염도는 향후 수십 년에 걸쳐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며 "법적 구속력이 있는 'UN 플라스틱 국제협약 체결' 등 플라스틱 사용·배출 저감 노력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seungjun24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