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는 사업 깔아줘야 한국판 스페이스X 나온다"

27일 우주항공청 개청…민간에 우주개발 이양 주력
"재사용 발사체·위성 통신시장 투자…초기수요·판로개척 기대"

22일 경남 사천시 우주항공청에서 현판식이 열렸다. 우주항공청은 오는 27일 개청을 앞두고 있다. 사진은 이날 우주항공청 모습.(우주항공청 제공) 2024.5.22/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우주항공청이 제 임무를 다하려면 결국 사업성이 담보된 우주사업에 집중해야 한다는 제언이다. 민간이 우주개발에 뛰어들게끔 마중물 역할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26일 과학계에 따르면 이달 27일 개청하는 우주청의 장기 롤 모델은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다. NASA가 그랬듯 우주청도 우주 개발 주도권을 민간에 이양한다는 의미다. 윤영빈 초대 우주항공청장 역시 이를 강조하고 있다.

일단 우주사업의 수익 개선이 필요하다. 수익성이 담보되지 않으면 기업을 끌어들이기 어렵다.

우주 산업 시장을 향한 기대감은 커졌으나 실제 우주 관련 사업으로만 수익을 내는 기업은 관련 업계의 10%에 불과하다. 400여곳의 국내 우주기업 중 90%는 '겸업'을 피할 수 없는 실정이다.

김영민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KASP) 사무국장은 "잠재력을 보고 도전하는 스타트업도 소폭 늘었으나 여전히 국내 시장만으로는 한계가 크다"고 전했다.

사업 수익성을 높이려면 재사용 발사체 등 '발사 비용 효율화'가 필요하다. 일례로 스페이스X 재사용 발사체 '팰컨9'는 ㎏당 발사 비용이 우리나라 누리호보다 7배 저렴하다.

'우주청 비전 및 핵심 임무 발굴을 위한 위원회'가 주요 사업 추진안 중 하나로 비용 효율화 방안을 검토한 이유다.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에 위치한 미 항공우주국(NASA) 케네디 우주센터에서 3일(현지시간) 팰컨9이 발사되고 있다. 2024.03.03. ⓒ 로이터=뉴스1 ⓒ News1 정윤영 기자

다만 섬세한 접근이 필요하다.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는 "우주청은 스페이스X의 방식인 수직상승·하강(VTVL) 기술을 무작정 추격하지 말고 우리 실정에 맞는 재사용 발사 개념부터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를 파악하려면 기술 현주소를 확인해야 할 것"이라며 "어떤 방식이 최적일지 가닥을 잡은 뒤 투자해도 늦지 않다"고 말했다.

그간 국책 연구·개발(R&D) 수혜를 누렸던 우주산업 내 '업스트림' 분야가 아닌 '다운스트림'에도 지원이 요구된다. 업스트림은 위성 제조·발사, 다운스트림은 위성 등으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지상 인프라·단말기 등을 뜻한다.

업계 관계자는 "이미 다운스트림 시장은 업스트림을 앞서는 등 유망하다"며 "이런 시장을 더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기업들은 우주청으로 지원체계가 일원화되면 판로 개척 지원이 신속해질 것이라 전망한다. 우수한 엔지니어·소프트웨어 개발자 등 인재 유치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본다.

다만 이준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012450) 사업부장은 "우주서비스 초기 수요는 우주청이 신경 써야 할 부분"이라며 "이 밖에도 발사장 등 국내 인프라가 확보돼야 기업의 운영 부담이 경감된다"고 했다.

김 사무국장은 "그간 우주사업 담당 기관에선 수출 지원이 부족했는데 우주청에서 이 부분도 잘 챙겨야 한다"고 주문했다.

legomaster@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