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연구협력 성공하려면 안정적 채널·IP 분배 기준 있어야"
"흩어진 협력 총괄할 거점 필요…막스플랑크 센터 유치 도전"
"상대 기관서 징수하는 운영비, 한국서 명확히 기준 제시해야"
- 윤주영 기자
(서울=뉴스1) 윤주영 기자 = 글로벌 공동 연구가 제대로 이뤄지려면 단순 예산 투입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교류 채널이 필요하다는 주문이 나온다. 개별 연구실 단위로 흩어진 협력을 통합하는 거점이 방법으로 제시된다.
또 해외 참여기관이 운영 명목으로 징수하는 간접비(오버헤드), 공동 성과 지식재산권(IP) 분배 등 기준을 한국이 사전에 명확히 제시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20일 서울 강남구 과학기술회관에서 과학기자협회와 기초과학연구원이 진행한 '기초과학 글로벌 협동성과 및 전략 방안' 간담회에서도 이런 내용이 공유됐다.
천진우 IBS 나노의학연구단장은 "개인 연구실 단위로 글로벌 협력이 진행되지만, 인력 교류 관련 프로토콜이 없다"며 "사람을 보낸다면 비용을 어떻게 처리할지, IP를 어떻게 나눌지 등이 문제로 남는다"고 말했다.
천 단장은 그가 몸담은 '연세 조인트 리서치 허브'를 예시로 들었다. 지난해 고등과학원-IBS 나노의학연구단과 독일 막스플랑크 연구소가 함께 출범시킨 허브는 나노의학 글로벌 중심지가 되는 게 목표다.
그는 "나노 생명공학은 다학제적 성격을 띠는데 현재 허브는 10개 기관과 협력하고 있다"며 "협업 건마다 편차가 생길 수밖에 없는데 이를 파악해야 효율적으로 인력, 공간 등 자원을 투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명경재 IBS 유전체항상성연구단장은 "공동연구도 결국 연구자끼리 친해지는 게 핵심이기 때문에, 예산만 줄 게 아니라 소규모 미팅을 지원하는 등 보완책이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 그는 간접비 사전 조율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공동 연구에 참여하는 해외 대학들이 대체로 높은 간접비 기준을 제시하고 있어 협업에 난항이 생기고 있다.
IBS는 이런 점들을 고려해 인재교류 거점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기관은 막스플랑크 연구소 협력센터를 국내 유치하는 것을 최근 추진 중이다.
전 세계 16곳에 설치된 협력센터는 막스플랑크의 공식적 연구 협력 플랫폼 기능을 한다. 막스플랑크가 개별 연구소 중에선 최다 노벨상 수상 기관인 만큼, 센터를 유치한다면 많은 과학 리더를 국내로 끌어들일 수 있다.
천 단장은 "올해 11월 막스플랑크 연구소에 유치 제안서를 냈는데 3~4개월 뒤 심사 결과가 나올 예정"이라며 "유치에 성공한다면 아시아에선 일본 이화학연구소(RIKEN)에 이어 두 번째 센터가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자들은 "한국이 선도적인 연구 성과를 냈더라도 공신력은 하루아침에 생기는 게 아니다"라며 "글로벌 교류의 장이 마련돼야 폭넓은 연구자 간 상호평가(피어리뷰)가 되는 것이고, 이것이 노벨상 도전으로도 이어지는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legomaste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