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기정통부, 사물인터넷 보안인증 확산…인증 라벨 도입

강도현 제2차관 "안심한 IoT 사용 환경 만들 것"

(과기정통부 제공)

(서울=뉴스1) 나연준 기자 = 정부는 소비자가 안전한 사물인터넷(IoT) 제품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안인증 라벨을 도입·확대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은 17일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대회의실에서 스탠더드 유형의 IoT 보안인증을 획득한 삼성전자 등과 간담회를 가졌다.

IoT 제품 해킹사례의 지속적인 발생으로 국민 사생활 침해 우려도 함께 커져 보안 강화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정부는 2021년부터 IoT 보안인증 제도를 법제화해 운영 중이다.

삼성전자의 로봇청소기는 IoT 보안인증 중 최고 수준인 스탠더드 유형(고도의 해킹 공격에 대응할 수 있는 종합적인 보안조치 수준)의 모든 시험평가 항목(43개)을 통과한 첫 인증 사례가 됐다.

정부는 앞으로 소비자들이 보다 쉽게 안전한 IoT 제품을 식별하고 선택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IoT 보안인증 라벨(인증마크+QR코드)을 도입하고 확산해 나갈 계획이다.

강도현 과기정통부 제2차관은 "최근 사물인터넷 제품의 편리함으로 인해 국민 생활 깊숙이 자리 잡고 있으나, 아직 보안에 대한 인식은 낮은 수준"이라며 "보안의 중요성을 알리고 보안인증 제품을 확대해 국민들이 안심하고 IoT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yjr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