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T·AI 기반 수해예방 시스템 도입에 속도낸다
수위측정센서 활용한 지하차도 차단 시스템 등 마련
디지털 트윈 기반 침수 대응 시스템 실증에도 속도
- 조재현 기자
(서울=뉴스1) 조재현 기자 = 정부가 스마트 수해 예방 시스템 마련에 속도를 낸다.
최근 충북 오송 지하차도 침수 사고를 계기로 손쉽게 적용할 수 있는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수해·재난 예방 및 대응 프로세스를 우선 도입한다는 것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ICT 전문기관인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과 태스크포스(TF)를 꾸려 '디지털 기반 재난 대응 계획안'(가칭)을 마련하고 있다고 24일 밝혔다. 환경부, 지방자치단체와도 협의하고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은 지난 18일 국무회의 후 스마트 수해 예방 대책 내실화를 강조했다.
당장 활용 가능한 디지털 기술로 스마트 수해 예방·대책 프로세스를 만들자는 취지다. 매년 예기치 못한 침수, 인명 사고가 반복되는 것을 막고자 팔을 걷고 나선 것이다.
회의에서는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지하차도 진입 차단 시스템 등 인명 피해를 막을 수 있는 여러 안이 검토되는 것으로 전해졌다.
가상모형(디지털 트윈)과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한 도시 침수 예보체계 시스템 구축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과기정통부는 환경부와 함께 지난해 태풍 힌남노로 침수 피해를 본 광주광역시, 경북 포항시, 경남 창원시에 침수 위험 정보 등을 제공하는 디지털 트윈 기반 스마트 대응 시스템을 실증하고 있다.
디지털 트윈은 가상 공간에 실제 사물의 물리적 특징을 반영한 트윈(쌍둥이)을 만든 후, 다양한 시뮬레이션을 거쳐 관제·분석·예측 등 현실의 의사 결정에 활용하는 기술이다.
과기정통부는 사업 실증 뒤 이 시스템을 2025년 전국으로 확대하려고 했으나 이를 앞당기는 안을 검토 중이다.
과기정통부는 홍수 피해를 막고자 섬진강 등 하천 유역 정보를 디지털 트윈으로 구현, 수해 예측·관제에 활용하는 플랫폼도 만들었다. 이를 넘겨받은 환경부는 전국의 댐·하천 유역에 이 플랫폼을 적용할 계획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반복되는 수해 피해를 최소화하고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관계 부처와 아이디어를 모으고 있다"며 "국민 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에 힘을 쏟겠다"고 말했다.
cho8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