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동차부품 美 수출만 12兆인데"…25% 관세에 中企 '날벼락'
중소기업 수출 4위 '자동차 부품'…"피해 불가피"
부품 직접수출·완성차 간접수출 모두 막히는 이중고
- 이정후 기자, 장시온 기자

(서울=뉴스1) 이정후 장시온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입차 및 자동차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발표하면서 '자동차 부품'을 수출하는 국내 중소기업에도 발등에 불이 떨어졌다.
국내 자동차 수출국 1위가 북미인 만큼 경제적 피해를 피하기 어렵게 되면서다. 특히 '자동차 부품'은 지난해 중소기업 10대 수출 품목 중 4위를 차지할 만큼 주력 품목이라 대응책 마련이 시급해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6일(현지시간) 외국에서 만든 모든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 대해 25%의 관세를 부과한다고 밝혔다. 로이터·AFP통신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외국산 자동차 관세 부과를 명령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는 오는 4월 3일(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부터 발효될 예정이다. 엔진과 변속기 등 자동차 부품에 대한 관세 역시 25%로, 늦어도 5월 3일 이전에 적용될 예정이다.

미국의 이번 관세 정책으로 가장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것은 완성차 업체로 예상되지만,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중소기업들의 피해도 막심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이들은 북미 지역에 대한 직접 수출과 완성차 업체를 통한 간접 수출 길이 모두 막히는 이중고를 겪을 것으로 우려된다.
자동차 부품 대·중견·중소기업들이 회원사로 있는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자동차 부품 수출 규모는 225억 4700만 달러(33조 359억 원)다. 이 중 미국 수출은 82억 2200만 달러(12조 469억 원)로 36.5%를 차지했다.
중소기업으로 범위를 좁히면 이들의 겪는 부담은 커진다. 지난해 중소기업 10대 수출 품목 중 '자동차 부품'은 44억 달러(6조 4469억 원)로 4위를 차지했다. 적지 않은 중소기업들이 수출에 의존하고 있는 셈인데 미국이 수출 장벽을 세우면서 피해가 예상되는 상황이다.
당장 관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미국에 현지 공장을 세워야 한다. 하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중소기업 입장에서는 불가능한 일이다.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중소기업들은 상황만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입을 모았다.
완성차 업체를 통한 간접 수출 피해도 적지 않을 것으로 우려된다.
자동차 부품을 생산하는 한 기업 관계자는 "완성차 업체들이 관세 때문에 납품 물량을 조정하면 우리 같은 협력업체가 직격탄을 맞는 것"이라며 "물량 감소가 가장 우려되지만 대책을 세우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어 "현대차도 미국 위주로 생산 포트폴리오를 다시 짤 텐데 우리나라 부품사도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협력업체도 똑같이 현지에 증설해야 생존할 수 있다는 이야기"라고 말했다.
한국자동차산업협동조합 관계자는 "중소기업의 경우 1차 벤더나 완성차 업체를 통한 간접 수출이 많은데 현지에서 제조하는 자동차가 많아지면 그만큼 중소기업이 공급하는 양이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그는 "트럼프가 협상에 따라 정책을 유연하게 적용하는 만큼 상황이 달라질 수도 있기에 우선은 지켜보는 게 업계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중기부는 대미 수출 중소기업이 관세로 인해 입는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긴급대응반 등을 운영해 지원할 계획이다.
다만, 자동차 부품 등과 같이 특정 산업을 특화 지원하는 것이 아닌 수출 중소기업 전반을 지원하는 정책을 운영한다.
먼저 전국 15개 애로신고센터를 중심으로 수출 중소기업의 피해를 접수하고 미국 정부의 관세 부과 대상 품목 등 관련 정보 및 상담을 제공한다.
또한 긴급경영안정자금을 활용해 유동성 문제 해결이 시급한 기업에는 자금을 지원하고, 수출국을 다변화하는 기업에는 평가 지표를 절반 가까이 줄인 패스트트랙 평가를 활용해 자금을 신속히 공급한다.
중소기업이 미국의 관세 대응력을 높일 수 있도록 28일부터는 전국 설명회를 개최할 예정이다. 서울부터 전라, 경기, 충청, 경상 등 광역권별로 순차 개최하는 설명회에는 삼일PwC 등 전문 인력이 상담을 진행한다.
이 밖에도 중기부는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해 관세 피해 기업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수출 바우처 등을 활용한 세부 대응 방안을 4월 초 발표할 예정이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의 지원이 전방위적으로 필요한 상황"이라며 "정부 정책 자금 등 할 수 있는 방법을 총동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leej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