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인 유학생 10명 중 9명 "한국서 일할래요"…비자 취득은 어려움

중기중앙회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결과 26일 발표
E-9 비자 전환 허용되면…10명 중 6명 "취득해서 생산직 취업할 것"

지난해 9월 부산 경성대학교에서 열린 '2024 부산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2024.9.27/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지난해 9월 부산 경성대학교에서 열린 '2024 부산 외국인 유학생 취업박람회'에서 외국인 유학생이 채용정보를 살펴보고 있다. 2024.9.27/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서울=뉴스1) 장시온 기자 = 외국인 유학생의 87%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고 3년 이상 근무하겠단 비율도 60%를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외국인 유학생(국내 대학 재학자 또는 졸업 후 구직비자 취득자) 8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결과를 26일 발표했다.

조사 결과 전체 외국인 유학생의 86.5%가 졸업 후 한국에서 취업을 희망하고 있으며, 특히 전문학사 과정 유학생은 90.8%로 비율이 높았다.

한국에서 취업하고 싶은 이유로는 △한국에 계속 살기 위해서(35.2%) △본국 대비 높은 연봉 수준(27.7%) △관심있는 분야에서 일하고 싶어서(25.6%) 등으로 나타났다.

취업 희망자 중 63.6%는 3년 이상 근무를 희망했다. 이중 10년 이상 희망도 22%에 달했다.

국내 외국인 유학생이 취업활동을 하기 위해 필요한 E-7(특정활동) 비자 취득에는 어려움을 겪는 걸로 나타났다.

E-7 비자 취득이 어렵다고 응답한 비율은 전체의 66.7%에 달했다. 전문학사 유학생은 73.3%로 가장 높았다.

주된 이유로는 △E-7 비자로 채용하는 기업이 적어서(40%) △E-7 비자의 직종이 제한적이어서(21.4%) △E-7 비자를 제공하는 기업의 정보가 부족해서(19.6%) 등이 많았다.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외국인 유학생 졸업 후 진로 의견조사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전체 응답자의 64.3%는 취업을 못해도 한국에 체류하겠다고 했다. 채용 시까지 한국에서 취업 준비를 하겠다는 이들이 31.2%, 한국 대학원 진학이 22.5%였다.

전문학사(78.6%), 비수도권(68.7%), 학사 이상(61.5%), 수도권(57.5%) 순으로 비율이 높았다.

E-9(비전문 취업) 비자로의 전환이 허용되면 취득하겠단 비율은 60%에 가까웠다. 현재 유학생(D-2), 구직(D-10) 비자에서 E-9 비자로의 전환은 불가능하다.

전체 유학생의 58.8%는 E-9 비자를 취득해 중소기업 생산직 등 현장에서 일하고 싶다고 답했고 전문학사 유학생은 67.2%였다.

E-9 비자 취득 의사가 없는 응답자는 △배운 지식을 활용 못할 것 같아서(43.5%) △급여가 낮아서(20.7%) △열악한 업무 환경 때문에(15.8%) 등을 이유로 들었다.

이명로 중기중앙회 인력정책본부장은 "외국인 유학생이 한국 취업에 강한 의지를 보이고 있지만 E-7 비자 취득의 어려움으로 실질적인 취업 기회는 제한적"이라며 "중소기업 인력난 해소를 위해 E-9 비자 전환 허용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의 비전문 분야 취업(E-9)을 허용하는 '외국인근로자의 고용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김위상 등 11인)'은 지난해 11월 발의돼 계류 중이다.

zionwk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