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중소기업 육성에 1.5조 붓는다…재도약 지원금만 7500억"

중기부, 내년 예산 편성…전년대비 14% 증가
인력난 겪는 지역 기업 위한 예산도 별도 편성

ⓒ News1 양혜림 디자이너

(서울=뉴스1) 이정후 기자 = 중소벤처기업부가 내년도 지역 중소기업 육성 및 위기 중소기업을 지원 사업 예산으로 1조 5097억 원을 책정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사업 대비 14.3%(1894억 원) 증가한 규모다.

중기부는 24일 '2025년 중기부 글로벌화·도약 전략 예산사업 정책설명회'를 개최하고 이 같은 계획을 밝혔다.

구체적인 내년도 지역·제조혁신 주요 예산 사업은 크게 △구조개선 및 신사업 진출 7929억 원 △지역중소기업육성 2919억 원 △제조혁신 2479억 원 △인력지원 1771억 원으로 구분된다.

◇위기 중소기업 구조개선 지원…사업 전환에 3872억

먼저 중기부는 위기 중소기업의 선제적인 구조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구조개선자금'과 '구조개선촉진' 사업 예산을 올해보다 확대했다.

해당 사업은 민간 금융권과 협력해 성장잠재력이 있는 유망 중소기업을 선별하고 자금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정부가 구조개선 계획 수립 및 정책자금을 지원하면 은행이 신규 대출 및 만기 연장·금리 인하를 추진한다.

이와 관련된 내년도 구조개선자금 사업 예산은 올해 1193억 원에서 808억 원을 증액한 2001억 원을 투입한다. 구조개선촉진 사업은 23억 원에서 9억 원 증액한 32억 원으로 추진한다.

경제 환경 변화로 경쟁력 확보가 어렵거나 미래 유망 업종으로 사업 전환을 추진하는 중소기업도 대폭 지원한다.

기업 성장 사다리 프로그램을 통한 사업전환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 예산은 올해 73억 원에서 내년도 372억 원으로 늘렸으며 사업전환자금 지원 예산은 올해 3125억 원에서 내년도 3500억 원으로 증액했다.

또 신사업·신시장에 진출할 유망 중소기업 100개 사를 선별해 스케일업을 지원하는 '점프업(도약) 프로그램'도 299억 원의 예산으로 추진한다.

오영주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이 20일 충북 청주 유진테크놀로지에서 열린 지역특화 프로젝트 '레전드 50+' 충북지역 간담회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 제공) 2024.3.20/뉴스1

◇지역 중소기업 육성 속도…레전드50+ 중심으로 확대

지역 중소기업 육성 사업도 지속 추진한다. 지방자치단체가 주도해 지역 기업을 육성하기 위한 '레전드 50+' 중심으로 사업을 개편하고 '지역 혁신 선도기업 육성 R&D' 사업을 신설했다.

레전드 50+는 지자체가 지역 특색을 반영한 지역기업 육성 3개년 프로젝트를 기획할 경우 중기부가 정책수단을 할당해 지원하는 사업이다.

올해 7개 사업에 2790억 원 지원한 것을 10개 사업 3400억 원 규모로 확대한다. 해당 예산은 연계 사업의 예산을 함께 활용한다.

또한 지역 주력 산업 분야의 혁신중소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산학연 협력과 혁신 역량 보유기업이 중심이 되는 R&D를 216억 원 규모로 내년부터 운영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시·도별 지역 주력 산업을 중점 육성하는 '지역주력산업육성' 사업을 463억 원 △시군구 연고 산업 육성 사업 310억 원 △중소기업 혁신바우처지원 사업 614억 원 △ICT융합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사업 2361억 원 등으로 추진한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올해와 비슷한 中企 수출 지원 사업…수출바우처만 확대

중소기업을 위한 주요 수출 사업은 지난해와 비슷한 규모의 예산으로 운영한다.

대표적으로 내수·수출중소기업의 수출 활동에 필요한 해외 마케팅 서비스를 지원하는 '수출바우처' 사업은 약 3600개 기업을 대상으로 약 1276억 원 규모로 실시한다.

이는 올해 약 1119억 원 규모로 실시된 사업보다 확대된 수치다.

이 밖에도 △수출컨소시엄 158억 5100만 원 △대중소기업 동반진출 지원 168억 5100만 원 △해외수출규제 대응지원 153억 원 등 주요 수출 사업은 올해와 같은 규모로 내년에 지속 추진한다.

글로벌비즈니스센터 사업 예산의 경우 올해 178억 1600만 원에서 내년도 176억 9300만 원으로 소폭 감소했으나 △공유형 사무공간 △개방형 공유 오피스 제공 △법률·세무·회계 컨설팅 △시장조사 등 서비스 제공 등 현지 정착 사업은 이어갈 방침이다.

leej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