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반성장지수 '최우수' 역대 최대…"대기업 위주 성과 아쉽다" 지적도
최우수 기업 41개社…중견기업은 양호·보통·미흡 多
오영교 "동반성장 인센티브…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아"
- 이정후 기자, 홍유진 기자
(서울=뉴스1) 이정후 홍유진 기자 = 동반성장위원회는 2022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 역대 최대인 41개사가 '최우수' 등급을 받았다고 밝혔다. 최초로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도 4개사가 추가되면서 대기업·중견기업에 동반성장 분위기가 확산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반위는 18일 서울 서초구 JW메리어트호텔서울에서 '제76차 동반성장위원회'를 열고 대기업·중견기업 214개사에 대한 '2022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동반위는 △최우수 41개사 △우수 62개사 △양호 73개사 △보통 23개사 △미흡 9개사를 선정했다. 기업 평가는 동반위의 '동반성장 종합평가'와 공정거래위원회의 '공정거래협약 이행평가'를 50%씩 합산해 진행했다.
최우수 기업에는 △기아 △네이버 △삼성전자 △롯데케미칼 △포스코 △현대자동차 △KT 등 대기업 38개사와 △농심 △대상 △파리크라상 3곳의 중견기업이 이름을 올렸다.
우수 기업에는 △롯데건설 △신세계백화점 △한화 △현대홈쇼핑 등 대기업 40개사와 △남양유업 △대우건설 △아모레퍼시픽 등 중견기업 22개사가 선정됐다.
최우수 또는 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에는 정부 차원에서 인센티브를 부여한다. 해당 기업은 △공정위 직권조사 면제 △중소벤처기업부 수·위탁거래 실태조사 면제(격년) △조달청 공공입찰 참가자격사전심사 가점 등 7가지 혜택을 받는다.
오영교 동반위 위원장은 "최우수 기업이 늘어난 것은 기업이 동반성장 평가와 활동에 대한 관심이 증가했다는 것으로 질적인 측면에서도 발전했다고 평가한다"고 말했다.
◇'최우수 명예기업' 증가·업종 다양화…동반성장 문화 자리 잡나
이번 동반성장지수 발표에 따르면 역대 최대 최우수 등급 기업 수와 함께 동반성장 관련 성과 지표가 두드러졌다.
먼저 2011년도 동반성장지수 평가를 시작한 이후 3개년 이상 연속 최우수 등급을 받은 '최우수 명예기업'은 28개 사로 전년도 25개사에서 3개사 증가했다.
2021년도 대비 2022년도에 등급이 상승한 기업은 총 28개사로 모두 1단계씩 상승했다. 건설·식품 업종에서는 최우수 등급을 받은 기업이 전년 대비 각각 2개, 1개씩 늘었다. 반면 가맹 업종에서는 1개사가 감소했다.
최초로 최우수 등급을 획득한 기업도 다양한 업종에서 나타났다. 제조업에서는 롯데케미칼, 삼성SDI가 선정됐고 건설업에서는 한화, 정보서비스업에서는 롯데정보통신이 새로 이름을 올렸다.
동반위는 동반성장 주요 평가로 대·중소기업 간 양극화 해소를 위해 80개사가 동반위와 혁신주도형 임금격차 해소 협약을 맺었다고 밝혔다. 이 중 지난해 총 74개사가 협력사에 7577억원을 지원했다.
박치형 동반위 운영처장은 "제조업이 16개사, 비제조업이 25개사로 업종별로 양쪽이 균형을 맞춘 것으로 평가한다"며 "한 번도 최우수 등급을 받지 못했던 기업들이 생겨나면서 상생 노력을 한 기업들이 추가로 발굴돼 의미가 있다"고 평가했다.
◇대기업만 많은 '최우수'…"중견기업 상생협력 지원 필요"
산업계에 동반성장 문화가 정착하고 있지만 대기업 위주의 성과는 한계로 남았다.
산정·공표 대상 100개 중견기업 중 최우수 등급 중견기업은 △농심 △대상 △파리크라상 3곳뿐이었으며 대기업에 비해 양호·보통·미흡 비율은 더 높게 나타났다.
오 위원장은 "동반위는 작년 9월 공표 이후 중견기업의 동반성장 활동 촉진을 위해 등급 상승 여력이 있는 중견기업 10개사를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을 진행했다"며 "그 결과 4개사가 전년 대비 등급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아직 눈에 띄는 성과는 부족하지만 동반위에서 지속해서 중견기업의 상생협력 활동에 적합한 활동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 대기업과 중견기업 간 지수, 등급 분포 차이의 원인을 분석해 자산 규모 등 평가 대상의 새로운 구분 방식도 검토한다.
한편 오 위원장은 '중견기업의 참여도를 높이기 위해 인센티브가 더 필요하지 않느냐'는 의견에 "동반성장 활동을 유인하기 위한 인센티브 정책은 장기적으로 바람직하지 않다"고 밝혔다.
그는 "기업이 ESG에 대한 대비를 지금부터 활발하게 해 나가도록 유인하는 게 진정한 인센티브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인센티브 직접 지원보다 기업이 해야만 하는 활동과 변화에 대응해야만 하는 제도를 지수 평가에 적절히 반영하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leej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