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트럭 전환에 택배업계 "방향성엔 공감, 대량도입은 아직"

택배 3사 전기트럭 비중 4~8%…배송특화 PBV 개발 나서
"주행거리 한계·충전소 부족 문제 먼저 해결 필요"

CJ대한통운 1톤 전기택배차(CJ대한통운 제공)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탄소중립 실현’이 글로벌 화두로 떠오르면서 택배업계가 전기택배차(1톤 전기트럭) 도입을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있다.

다만 현재 시중에 나온 전기택배차는 1회 완충시 주행가능거리가 최대 200㎞에 그쳐 대량도입엔 현실적인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사업자인 택배기사들도 열악한 충전 인프라 등을 이유로 대대적 전환은 시기상조라고 봤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CJ대한통운(000120)은 2016년 전기트럭 시범운영을 시작으로 2020년부터 배송 현장 전기트럭 도입에 나서 현재 약 1600대(직영+개인사업자 소유 합산)를 운영하고 있다. 전기트럭 운영 비중은 전체(약 2만4000대)의 약 6.7%다.

CJ대한통운은 기아와 손잡고 2025년까지 물류·배송특화 목적 기반 모빌리티(PBV)를 공동개발·도입하고 2030년까지 모든 차량을 친환경으로 교체하겠다는 계획이다. 아울러 2050년까지 완전한 탄소중립 '넷제로'(Net-Zero:실질적 온실가스 배출량 제로)를 선언했다.

롯데글로벌로지스 1톤 전기택배차(롯데글로벌로지스 제공)

롯데글로벌로지스도 기아와 손잡고 '롯데 맞춤형 PBV' 개발에 돌입해 2025년 하반기 중 물류현장 투입을 목표로 잡았다. 롯데택배 대리점(개인사업자 등)을 포함한 전기트럭 운영 대수는 약 800여대로 전체(약 1만대)의 약 8%다.

한진(002320) 역시 2021년부터 택배현장에 전기트럭 도입을 시작해 전기트럭 약 500여대(전체 약 4%)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초 지역별 택배터미널에 전기차 충전기를 설치하고 충전소 사업 진출을 통한 확대를 검토하고 있다.

택배 3사의 친환경 사업 추진은 글로벌 흐름인 탄소중립·ESG 경영에 일조하고 정부의 '한국형 무공해차 전환 100'(K-EV100) 캠페인에 동참하면서 경유택배차 금지법 시행에 대비하기 위해서다.

'어린이 통학버스 및 택배차량 용도의 경유자동차 사용 금지법'은 당초 올해 4월 시행예정이었지만 현실적인 문제를 감안해 금지시점을 내년 1월1일로 8개월 유예한 상태다. 국회(더불어민주당 박찬대 의원 대표발의)는 내년 1월 시행도 어렵다고 보고 5년 더 유예하는 내용을 담은 일부개정안(2029년 1월1일 시행)을 발의했다.

한진 1톤 전기택배차(한진 제공)

업계는 택배차량을 친환경 운송수단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방향성에는 공감하지만 △1회 완충시 주행거리 제한(최대 200㎞) △정부 지원 통한 전기차량 충전소 인프라 확충 △개인사업자 위탁계약 구조 등 문제를 먼저 해결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택배기사들도 비슷한 이유로 전기차 전환에 부정적인 시각을 내비쳤다. 가장 큰 걸림돌로는 충전 인프라가 열악한 점을 꼽았다.

이들은 "정부 보조금을 받을 수 있어 전기택배차로 바꿨지만 충전할 수 있는 곳이 없어 곤란을 겪고 있다" "경유 등 기름에 붙는 세금이 어마어마 한데 전기차량으로 모두 전환하면 전기충전소에 엄청난 세금을 부과하게 될 것" "배터리 성능을 대폭 업그레이드한 차량이 나오지 않는 전기차로 바꾸는 건 시기상조" 등의 의견을 냈다.

한편 국내 주요 전기택배차(택배용 전기화물차)는 '현대자동차차 포터2 일렉트릭'과 '기아 봉고3 EV' 등이다. 지난해 각각 약 2만대와 약 1만5000대가 생산됐다.

ideae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