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견기업 4분기 경기전망 '하락 전환'…전 분기比 5.7p 하락

중견련 '2022년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 결과 발표

부산 남구 부산항 용당부두에 컨테이너로 가득 쌓여있다. (뉴스1DB) ⓒ News1 김영훈 기자

(서울=뉴스1) 이민주 기자 = 중견기업 4분기 경기 전망이 올해 처음으로 전분기 대비 하락했다. 글로벌 경기 불황의 징후가 중견기업계에까지 옮겨붙은 분위기다.

한국중견기업연합회는 '2022년 4분기 중견기업 경기전망조사'에서 경기전망지수가 전분기 대비 5.7p 하락한 94.9를 기록했다고 6일 밝혔다.

전망지수가 100을 초과하면 직전 분기보다 다음 분기를 긍정적으로 전망한 기업이 더 많고, 100 미만이면 반대라는 의미다.

제조업 경기전망지수(93.0)와 비제조업 경기전망지수(96.5)가 전분기 대비 각각 7.0p, 4.7p 동반 하락했다. 수출과 내수 전망도 부정적인 수치로 내려앉았다.

제조업 중에서도 반도체, 디스플레이 관련 기업 등 전자부품 업종 전망 지수는 16.9p 크게 하락한 91.7다. 역대 두 번째로 낮은 수치로 9분기 만에 부정적 전망으로 전환됐다.

화학 업종 지수는 수입 원가 상승에 따라 석유화학 중 에틸렌 관련 기업을 중심으로 제조업 부문에서 두 번째로 큰 하락 폭(15.4p)인 84.6을 기록했다. 중국 시장 매출이 줄어들면서 화장품 기업의 부정 전망도 크게 확대된 것으로 확인됐다.

식음료품 업종(95.3)은 겨울철 비수기인 계절적 요인이 반영돼 아이스크림, 음료수 제조 기업을 중심으로 전분기 대비 6.4p 하락했다.

비제조업을 살펴보면 출판·통신·정보서비스 업종(90.6)은 지상파, 케이블 방송 기업을 중심으로 가장 큰 폭(10.9p)으로 하락했다.

운수업은 긍정적인 전망(101.5)을 유지했지만, 항만 하역, 해상 운송 기업 등을 중심으로 비제조업 전체 전망 지수보다 큰 5.0p 하락폭을 기록했다.

(중견련 제공)

중견기업들은 4분기 수출과 내수 상황 모두 좋지 않을 것으로 내다봤다. 수출과 내수 전망지수가 동시에 하락한 건 3분기 만이다.

수출전망지수는 4.2p 하락한 96.2다. 전자부품 업종 지수(93.5)가 전분기 대비 두 자릿수 이상(11.7p) 감소하면서 전체 지수를 끌어내렸다.

전자부품 업종에서는 반도체 이외에도 TV·스피커·휴대폰 관련 부품 기업의 부정적인 전망이 큰 것으로 확인됐다.

내수전망지수는 자동차(105.1), 식음료품(103.1), 운수(101.5) 업종은 '긍정'으로 확인됐지만, 전체 지수는 전분기 대비 4.9p 하락한 96.6을 기록했다. 영업이익 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1.6p 하락한 94.1로 확인됐다.

제조업 부문에서는 자동차 업종(101.3, 6.2p↑)과 1차금속 업종(84.9, 7.3p↓)의 전망이 크게 엇갈렸다. 자동차 업종에서는 환율 상승에 따른 매출 증가 기대감이, 1차금속 업종에서는 수입 원자재 가격 증가 부담이 작용한 결과로 해석된다.

비제조업 부분에서는 도소매 업종(93.2)이 CNG충전, 석유 도매업 등을 중심으로 가장 큰 폭(5.7p↓)으로 하락했다.

자금사정 전망지수는 식음료품(82.8, 18.9p↓)과 전자부품(93.1, 9.8p↓) 업종에서 크게 떨어지면서 전분기(97.7)보다 소폭 하락한 95.1을 기록했다.

직전 분기 대비 생산 증감 예상인 제조 중견기업의 생산규모 전망지수(100.4)는 전분기 대비 소폭 하락(1.6p↓)했지만 5분기 연속 100 이상을 기록하면서 긍정적인 전망을 유지했다.

제조 중견기업의 설비투자규모 전망지수는 전분기 대비 소폭(1.5p↓)하락한 98.9를 기록했지만, 전자부품(101.4), 자동차(100.0), 양극재용 가성소다, 전해액 유기용매 등 이차전지 원료 관련 화학(105.8) 업종 지수는 '긍정'이다.

제조업 부문 경영 애로 1순위는 환율 상승에 따른 원자재가 부담(59.6%), 비제조업 부문에서는 인건비 상승(40.9%)이 꼽혔다.

이호준 중견련 상근부회장은 "제조, 비제조업을 막론하고 부정적인 전망이 확인되는 상황에서, 여전히 대부분의 중견기업이 설비투자규모를 늘릴 것으로 내다본 데 주목해야 한다"며 "전향적인 대출 만기 및 상환 유예 연장 등 금융 지원은 물론, 공급망 불안정과 환율 인상에 따른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고질적인 인건비 증가 등 경영 애로 해소를 위한 정책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말했다.

minju@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