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피 또 올랐다"…세금 규제책에 일부 골프장 소비자 부담 전가
가을시즌 전국서 그린피·캐디피 줄인상…"과다한 세금 부담"
그린피 인하 규제책에 업계 반발…"오히려 더 오를 것"
- 김민석 기자
(서울=뉴스1) 김민석 기자 = 가을 시즌을 맞아 전국 대중제(퍼블릭) 골프장 이용료(그린피)가 다시 오르고 있다.
정부가 코로나19 여파로 치솟은 그린피 인하를 유도하기 위해 법령 개정을 추진 중인 가운데 일부 골프장은 오히려 요금을 인상하며 세금감면 혜택을 포기하는 방향을 정했다. 세금 규제책이 역효과를 불렀다는 얘기도 나온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수도권 A골프장은 지난달 1일부로 무기명 4인 기준 주말 그린피를 12만원에서 15만원으로 25%(3만원) 올렸다. 평일 그린피도 10만원에서 12만원으로 20%(2만원) 인상했다.
A골프장은 과다한 세금 부담과 급격한 물가 상승, 원자재 가격 등 고정 비용 증가에 그린피를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인천 영종도의 B골프장은 이달 1일부터 주중 13만원에서 14만원, 주말 16만9000원에서 17만9000원으로 각각 1만원 올렸다.
경기도 여주 C골프장도 지난달 20일부터 과도한 세금부담과 최저임금 상승 등을 이유로 그린피를 각각 2만원 상향 조정했다.
그린피 인상에 대한 따가운 시선을 피하기 위해 캐디피 등 각종 부대비용을 올리는 경우도 많았다.
경남 고성의 D골프장과 경주시 E골프장, 경북 고령군 F골프장 등은 다음달 1일부터 캐디피를 각각 13만원에서 14만원으로 1만원 올린다. 유명 브랜드 소속 일부 골프장도 캐디피를 13만원에서 14만원으로 조정하기로 했다.
골프 대중화를 내세운 퍼블릭 골프장들은 코로나19 이후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골프 인구 유입이 빠르게 늘면서 사상 최대 호황기를 맞자 가격을 슬금슬금 올려왔다.
골프장 업계 영업 이익률은 사회적 거리두기 여파가 지속한 지난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소비자들 사이에선 퍼블릭이 회원제보다 더 비싸다는 볼멘소리가 나오기 시작했다.
올해 초 사회적과 거리두기 해제에 예약이 몰리자 수도권 인근 골프장을 중심으로 가격은 더 가파르게 조정됐다.
일부 골프장들이 글로벌 인플레이션 분위기에 슬쩍 올라타 지나친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왔다. 퍼블릭 골프장에 부여한 세금감면 혜택을 전면 철회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정부는 골프 대중화 방향과 맞지 않을시 면세 혜택을 철회할 수 있도록 하는 규제 정책 마련하기 위해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있다. 대중제 골프장들이 유사 회원제 방식으로 회원을 모집해 편법으로 세금 감면을 받는 점도 막겠다는 취지다.
올해 11월 시행 예정인 개정 '체육시설의 설치·이용에 관한 법률'에서 '회원제'와 '대중제'으로 나뉜 현 골프장 체계에 '비회원제'를 추가한다.
대중제 골프장은 앞으로 그린피를 인하해 세제 감면(개별소비세 1인당 2만1120원)을 계속 받을지, 그린피를 인상하고 회원제나 비회원제로 운영해 세제 감면을 포기할지를 선택해야 한다.
특별소비세 면세 범위 및 기준을 어떻게 정할지는 난항이 예상된다. 대중제 골프장이 면세혜택을 받으려면 회원제 골프장 비회원 평균 그린피 대비 4만원을 낮게 책정해야 한다는 내용 등이 검토 중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조만간 각각 새로 적용될 개별소비세와 재산세 부과에 대한 구체적인 안을 고시안에 담아 내놓을 예정이다.
그러나 업계는 일부 골프장들이 과도하게 그린피를 인상한 것은 사실이지만, 전 업계에 일괄적으로 적용할 문제는 아니라며 반발하고 있다.
개별 골프장들의 코스 상태나 사정 등이 각기 다른데 가격을 천편일률로 규제하는 것은 시장경제 원칙에 맞지 않고 불합리하다는 것이다.
많은 골프장들이 세금을 더 내고 그린피를 인상하는 방향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일부 골프장들은 이미 소비자에게 세금 부담 전가를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골프장 업계는 반발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은 정부의 법령 개정을 환영하는 분위기다.
한국대중골프장협회는 부랴부랴 회원사들을 결집해 그린피 인하 캠페인을 열기도 했다.
업계 관계자는 "개정 법령의 면세 범위와 기준 등은 뚜껑을 열어봐야 알 수 있겠지만 골프장별 사정이 제각각이어서 불만은 계속 나올 것"이라며 "그린피 인하를 위한 정책이 오히려 부대비용 등 전체적인 이용료는 올려버리는 역효과를 낼 수도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ideaed@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