췌장암 항암제 조기 내성 원리 밝혀냈다…신약 개발 속도내나
- 천선휴 기자
(서울=뉴스1) 천선휴 기자 = 췌장암 항암제의 조기 내성 발생 원리가 밝혀져 신약 개발에 한걸음 다가설 것으로 보인다.
세브란스병원은 소화기내과 임가람‧방승민 교수, 간담췌외과 강창무 교수와 카이스트 의과학대학원 박종은 교수, 김성룡 학생 공동 연구팀이 췌장암 항암제 내성이 생기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포 타입을 확인했다고 5일 밝혔다.
췌장암은 환자의 90% 정도가 수술을 받을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병기에서 진단되기 때문에 대부분 약물로 치료한다.
대표적으로 폴피리녹스, 젬시타빈, 아브락산 등의 항암제를 사용하는데 평균 6개월 이내에 약제에 대한 조기 내성이 생겨 치료에 어려움이 있다. 위암 등 다른 난치성 암의 5년 생존율이 향상되고 있음에도 췌장암에서는 큰 변화가 없는 이유다.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이기 위해서는 내성 발생 과정을 알아내야 했다. 췌장암 세포 중 약물에 저항성이 없는 세포는 사멸하고 저항성을 가진 세포만 살아남아 암을 진행시킨다는 '잔류 이론'과 췌장암 세포가 스스로 항암제에 저항성을 가지게 진화한다는 '전이 이론'이 있지만 두 이론 모두 연구를 통해 제시된 근거는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세브란스병원에서 2019년 1월부터 2020년 7월 사이에 수술을 받은 췌장암 환자 17명의 수술 조직을 활용해 면역, 종양 등 세포 변이의 특성을 알아내는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진행했다.
분석 결과 항암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췌장암 세포는 항암 약물 처리 이후 나타나기 시작했다. '전이 이론'의 근거를 확인한 것이다.
이에 더해 기존에 알려진 전이 이론 타입의 세포 외에도 서로 다른 생물학적, 형태학적 특성을 가지고 항암제 저항성을 일으키는 타입의 세포 종류 5가지(Basal-like, Classical, EMT-related, Transitional, Ductal-associated) 등을 추가로 발견했다.
연구팀은 이러한 세포를 타깃으로 하는 신약 개발을 통해 췌장암 항암제에 대한 내성이 생기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약물치료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 것이라 설명했다.
임가람 교수는 "췌장암에 항암제를 처리한 후 조기 내성이 발생하는 원리를 밝혀냈다"며 "항암제 투여에 따른 저항성을 조기에 차단해 췌장암 치료 성적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영국 유전학 학술지 게놈 메디슨(Genome Medicine, IF 12.3) 최신 호에 게재됐다.
sssunhu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