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병·의원 3곳 중 2곳, 코로나로 손해 봤다"…'소아과·이비인후과' 직격탄
입원환자 많았던 상급병원 선방…"집단별 차별화 지원 필요"
- 강승지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병의원 3곳 중 2곳은 코로나19 유행 초기 경제적·재정적 손해를 본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이 낸 진료비 청구명세서로 전년대비 총진료비 감소가 확인됐다. 특히 동네 소아청소년과와 이비인후과가 직격탄을 맞았다.
2일 대한공공의학회에 따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 등의 연구진(안보령·노진원·윤은지·고혜진·구준혁·장원모·이혜진·이진용)은 코로나19가 의료기관에 미친 재정적 손실을 연구해 그 결과를 학회 학술지 최근호에 실었다.
연구진은 "코로나19 발생 전후 의료기관 총진료비를 분석해 의료기관이 입은 재정적 손실을 기관 특성에 따라 구분해 살펴보려 했다"며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활용해 동일 기관의 진료비 변화를 추적·관찰하고 기관 유형별 등 특성에 따라 분석했다"고 설명했다.
구체적으로 2019년 이전에 개설(지정)된 의료기관 중 2020년 12월에 폐업하지 않은 상태면서 2018~2020년 3년간 진료비 청구명세서를 낸 2만9346개 기관을 대상으로 했다. 다만 한방·치과·요양병원은 분석에서 제외했다.
2018년 대비 2019년 총진료비는 56조3130억원으로 11.9% 증가했으나 2019년 대비 2020년은 0.9% 감소한 55조8000억원이었다. 종별로는 상급종합병원만 총진료비가 증가했고 나머지는 모두 감소했다. 특히 동네 의원급에서 감소 폭(전년 대비 3.8% 감소)이 컸다.
총 2만9346곳 중 총진료비가 늘어난 곳이 33%, 감소한 곳이 67%였으며 종별 총진료비 감소기관 비중은 의원(67.9%), 종합병원(59%), 병원(50.6%), 상급종합병원(21.4%) 순으로 높았다.
동네 의원의 경우 소아청소년과의 98%, 이비인후과의 97%가 진료비 감소를 보였다. 반면 산부인과와 정신건강의학과의 경우 진료비가 증가한 기관 비중이 각각 77.9%, 72.3%였다.
2019년 대비 2020년 진료비 증감률 분포를 종별로 보면 상급종합병원은 개별 기관의 증감률 평균이 2.28%였으나 종합병원급은 -2.86%, 병원급은 -2.29%, 의원급은 -4.83%를 보였다. 상급종합병원급에서 의원급으로 갈수록 기관 간 증감률 편차가 컸다.
연구진은 상급종합병원이 종별 분석에서 유일하게 전년 대비 총진료비가 오른 이유로 "진료유형별 분석 결과 입원 환자들의 총진료비는 증가했으나 외래에서는 감소했음을 알 수 있다"면서 "상급종합병원 총진료비 증가는 다른 종별에 비해 입원환자 비중이 높아 나타난 결과임을 유추해볼 수 있다"고 했다.
특히 소아청소년과와 이비인후과의 진료비 감소 폭이 컸던 이유에 대해 연구진은 "코로나19 영향은 물론 인구학적 변화와 저수가로 인한 누적적자 등이 가중됐다. 이 기간 아동의 감염성 질환 진료는 감소했고, 병의원 방문은 기피돼 진료량을 급감시켰다"고 전했다.
정부 주도의 손실보상은 코로나19 전담병원 및 대형병원에 집중됐다고 지적한 연구팀은 "의원급에 대한 정부의 손실보상액은 건강보험 청구액과 비급여 진료비 추정액을 포함하고 있지만, 실제 매출액을 고려한 손실 규모는 더 크다고 볼 수 있다"고 했다.
연구팀은 "의료기관 총진료비 감소폭은 미미했으나, 세부 분석을 통해 취약한 종별 및 표시과목을 특정할 수 있었다. 코로나19 상황에 수혜를 입은 집단과 직격타를 맞은 집단이 공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메르스 유행 시기 의원급의 재정적 손실을 추정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메르스 종식 선언이 될 때까지 건강보험급여액과 매출액 감소가 회복되지 않았다"며 "유사 상황 발생 시 각 집단별 차별화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함을 뒷받침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ksj@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