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술불가·환자 보내지 마라"…보건노조 총파업에 응급 치료 마비

보건의료노조 오늘부터 총파업…145개 기관 4만5000명 참여
수술 중단 또는 미루고, 응급 환자도 못 받는 병원도 나와

12일 오후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에서 한 환자가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의 '산별 총파업 투쟁 전야제' 시작을 알리는 선전 현수막을 바라보고 있다. 2023.7.12/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서울=뉴스1) 강승지 기자 =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이 13일 총파업에 돌입하면서 응급의료에도 비상이 걸렸다. 지방 국립대병원뿐 아니라 국립중앙의료원과 서울 주요 종합병원 응급실에서도 진료 차질이 생기면서 응급환자가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뉴스1 취재 결과 국립중앙의료원은 119종합상황실과 다른 병원들에 '병원 내부 사정으로 인해 17일 오전 7시까지 환자 이송 및 전원 자제를 요망'이라고 안내했다. 고려대안암병원도 12일부터 응급 환자를 받지 않고 있다.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이 총파업에 돌입한 13일 오전 광주 동구 조선대학교 병원 로비에서 노조원들이 농성을 하고 있는 가운데 환자들이 진료를 위해 대기하고 있다. 2023.7.13/뉴스1 ⓒ News1 이승현 기자

지방 국립대병원 중 경남 진주의 경상국립대병원도 전날 "파업으로 인해 심정지와 급성 심근경색, 뇌졸중 환자 외에는 수용 불가하다"고 소방 당국에 알렸다. 전북대병원도 산부인과 응급 수술과 입원을 중단했다.

이미 입원환자를 대다수 내보낸 부산대병원은 권역외상센터마저 진료에 차질을 빚고 있다. 일부 병원의 진료 차질은 장기화할 가능성도 있다. 일부 병원에서는 수술 후 회복이 덜 된 환자들에게 '파업이 끝나면 다시 입원해달라'고 안내해, 환자와 가족들의 불만을 사고 있다.

응급실은 노동조합법 및 노동관계 조정법상 파업이 금지돼 있다. 그런데 파업 여파가 빠르게 전이된 이유는 병동에 환자를 올려보낼 수 없는 상황이라서다. 중증 응급환자는 응급실을 거쳐 수술실이나 중환자실로 옮겨지고, 회복되면 일반 입원 병실로 이동한다.

그러나 파업으로 일반 입원병동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돼, 중환자실과 응급실 환자들이 그대로 머물며 새 환자를 받을 수 없게 됐다. 앞으로 상황은 더 나빠질 우려가 크다.

지방 의료현장 상황은 더 심각하다. 부산 동아대병원은 부산대병원 파업으로 환자가 몰려들자, 모든 응급환자 수용 불가를 결정했다.

12일 오후 서울 강서구 이대서울병원에서 환자들이 전국보건의료산업노동조합(보건의료노조)의 총파업 예고 선전 현수막 너머로 '산별 총파업 투쟁 전야제' 현장을 바라보고 있다. 2023.7.12/뉴스1 ⓒ News1 민경석 기자

지역 거점을 맡던 국립대병원들의 파업 여파가 지역 다른 병원의 응급의료 마비로 이어진다. 한 병원 관계자는 "비응급에 해당하는 일부 입원 환자의 일정을 조정하고 있다. 수술은 환자와 상의해 일정을 미루고 있다"고 했다.

노조는 △간호간병통합서비스 전면확대를 통한 간병비 해결 △보건 의료인력 확충 △직종별 적정인력 기준 마련과 업무 범위 명확화 △의사 확충과 불법 의료 근절 △공공의료 확충과 코로나19 대응에 따른 감염병 전담병원 회복기 지원 확대 등 7개 요구사항을 제시하며 사측과 교섭을 벌여왔다.

전국 18곳의 상급종합병원을 포함해 145개 의료기관(조합원 수 6만4257명) 4만5000명이 파업에 참여한다. 노조는 사용자 측인 병원과 정부가 자신들의 요구와 쟁점 타결에 있어서 어떠한 노력도 기울이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노조는 총파업 첫날인 이날 오후 1시30분 전국에서 상경한 조합원 약 2만명과 함께 서울 광화문 동화면세점 앞에서 1일차 총파업대회를 연다. 14일에는 서울·부산·광주·세종 등지에서 거점파업을 진행한다. 병원 또는 정부의 태도가 전향적으로 바뀌지 않는다면 15일부터 무기한 총파업에 나선다는 입장이다.

ks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