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광전쟁 한창인데…'선봉장' 한국관광공사 사장 공모 '하세월'

당장 공모 시작해도 최소 2개월 이상 소요
日·中 등 주변국은 관광객 유치 공세 가열

인천국제공항에서 공항 이용객들이 탑승을 위해 게이트로 향하고 있다. 2024.6.30/뉴스1 ⓒ News1 이승배 기자

(서울=뉴스1) 장도민 기자 = 한국을 비롯해 중국과 일본, 동남아시아 국가 등 주변국이 경쟁적으로 관광객 유치에 나선 가운데 '관광전쟁'을 주도해야 할 한국관광공사 사장 자리는 반년째 공석이다.

수장 공백이 기약 없이 이어지고 있지만 아직 후보자 공모조차 시작되지 않았다. 4월 총선 직후와 최근 개각 이후 인선 재개에 대한 기대감이 대두됐으나, 아직 소문만 무성할 뿐 인선을 위한 실질적인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고 있어 공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10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관광공사 사장 자리는 올해 1월 9일 김장실 전 사장이 총선 출마를 위해 1년 3개월 만에 조기퇴임 한 이후 현재까지 빈 상태다.

김 사장이 퇴임 의사를 밝힌 지 약 10일 뒤 문화체육관광공사와 한국관광공사는 방한 관광객 2000만 명 시대를 열겠다는 야심 찬 포부를 밝히면서 '한국관광 메가 로드쇼' 등 구체적인 계획을 내놨다. 22개국 32개 도시에 위치한 한국관광공사 해외지사를 기반으로 방한을 유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지난해 방한 외국인 수는 약 1100만 명으로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9년 1750만 명의 63% 수준이다. 미국(103.6%)과 싱가포르(141.4%), 호주(114.4%), 독일(109.9%), 프랑스(120.2%) 등은 방한 관광객 수가 늘었지만, 정작 국내 관광산업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중국(33%)과 일본(70%), 동남아시아(77%) 관광객은 회복하지 못했다.

이러는 사이 201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한국보다 외래 관광객 수가 적었던 일본은 방일 외국인 관광객을 2023년까지 6000만 명으로 늘리겠다는 목표를 내걸었다. 일본은 늘어난 수요로 인해 항공유 부족현상을 겪을 정도로 정부가 적극적으로 항공기 증편을 지원하는 등 공격적인 공세를 펼치고 있다.

미국을 중심으로 확산한 반중감정, 항공편 미회복 등의 영향으로 관광객 수가 줄어든 중국의 경우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 스페인, 말레이시아 등 6개국에 대해 최대 15일간 비자 면제 혜택을 부여하고 싱가포르와 태국 관광객에 대해서는 비자를 면제했다. 한국 등 12개 국가에 대해선 비자 수수료를 25% 인하하고 미국인 비자 발급 요건도 간소화하며 관광객을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다.

한국 정부도 실질적인 관광객 유치 효과를 높이기 위해 K-팝, K-드라마, K-컬처 등 K-컬처를 전면에 내세워 적극적으로 유치 활동을 벌이고, 덤핑관광 단속을 강화하는 등 경쟁하고 있다.

그러나 정작 이를 주도해야 할 수장 자리를 채우는 데는 미온적이다.

복수의 정·관가 관계자들에 따르면 현재까지 정치인 출신과 관료 출신 이외에도 교수 출신까지 후보로 검토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흐지부지됐다. 특히 업종 특성상 교수 출신 사장이 선임된 경우는 지금껏 단 1번밖에 사례가 없었을 정도로 드물었음에도 후보로 검토되고 있다는 소문이 나고 있다. 이를 두고 관련업계에선 적절한 인사를 정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 공백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데 무게를 두고 있다.

총선 직후엔 보은 성격의 '낙하산' 인사라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했으나, 별다른 움직임이 없었고 개각 직후인 현재도 공모 절차가 시작되지 않아 산하기관 인선이 뒷전으로 밀린 게 아니냐는 목소리까지 나온다.

통상 정부부처 산하 기관장 선임은 '임원 추천위원회 구성→후보 공모→공공기관운영위원회 심사→이사회 의결→장관 제청→대통령 임명'으로 이뤄졌다. 짧으면 2개월, 늦으면 4개월가량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다. 따라서 엔데믹 이후 관광전쟁의 '황금타임'을 수장 없이 보낼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현재 문체부 산하 공공기관은 현재 11곳의 기관장이 공석인 상태여서 우선순위로 인선이 이뤄질 수 있을지 기대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상황에 밝은 한 관계자는 "관광을 주도할 중요한 자리지만, 정작 중요한 자리로 인식되지 못한 것 같다"며 "단기간 내에 자리가 채워지기는 어렵다는 의견이 많다"고 말했다.

jdm@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