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 저탄소 큰 그림 그리는 K-철강…추가 전력 확보 잰걸음

포스코, 수소환원제철 박차…현대제철 8천억 들여 LNG 발전소 건설
저감 목표 기대 못 미치자 추가 대응 속도…美·EU 탄소 규제 대비도

포스코 포항제철소 제품 창고의 열연 제품(자료사진) 2018.7.19/뉴스1 ⓒ News1 최창호 기자

(서울=뉴스1) 박종홍 기자 = 국내 철강업계가 새해 탄소 저감 제철 기술 도입을 위한 추가 전력 확보에 사활을 걸 전망이다. 친환경 제철 기술은 기존 공정보다 전력을 훨씬 더 소모하는데 현 신재생 에너지로는 이를 충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2일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005490)는 최근 임원 인사 및 조직 개편을 통해 '원자력협력 추진 TF팀'을 신설했다. 해당 TF팀은 탄소 중립을 체계적으로 실행하기 위해 원전 자가발전과 수소 생산 관련 협력을 전담한다.

업계에서는 포스코그룹의 TF팀 신설을 두고 수소환원제철에 필요한 전력과 수소를 확충할 방안을 마련할 팀을 구성했다고 해석한다. TF팀은 포스코홀딩스 내 수소사업팀, 탄소중립팀 등에서 활동해 온 손병수 상무보가 진두지휘한다.

포스코가 개발 중인 수소환원제철 기술인 하이렉스(HyREX)는 전통적인 고로(용광로) 공정 대비 다량의 전력을 필요로 한다. 철광석에서 산소를 떼어 내는 환원과 철광석을 녹이는 용융을 동시에 진행하는 고로 공정과 달리 이를 대체할 수소환원제철은 환원과 용융을 분리하는 공정이라 추가적인 에너지가 필요하다. 물을 분해해 수소를 생산하는 데에도 전력이 투입된다.

그동안 제철소들은 고로 공정에서 발생하는 부생가스를 주 에너지원으로 활용했다. 하지만 고로 공정이 신기술로 대체되면 이 역시 사라지는 만큼 새 전력원이 필수적이다.

현대제철(004020)도 추가 전력 확충 방안에 주력하고 있다. 올해부터 3년간 8000억 원을 투자해 당진제철소에 액화천연가스(LNG) 자가 발전 설비를 지을 예정이다. 고로 중심의 공정을 전기로 중심의 체계로 전환하는 데 필요한 전력을 확충하기 위해서다.

기존 화력 발전에 비해 탄소 배출량이 적은 LNG를 통해 단계적으로 탄소를 저감해나간다는 방침이다. 현대제철은 해당 LNG 발전 설비를 최종적으로는 수소 발전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국내에서 탄소 다(多)배출 산업 1위인 철강업계는 전 세계적 탄소중립 기조에 발맞춰 탄소 저감 기술 상용화에 박차를 가해 왔다. 다만 기술력이나 현재 저감 수준이 목표에 미치지 못하자 추가적인 대책 마련에 박차를 가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경제인협회는 지난해 말 서울과학기술대 연구진에 의뢰한 연구용역 보고서를 통해 철강 등 업종의 저탄소 기술이 2035년 이내에 상용화하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호주 환경 캠페인 단체 ASL(Action Speaks Louder)은 2022~2023년 포스코 현대제철 동국제강을 비롯한 아시아 철강 업체들의 재생에너지 사용 비중이 '0'에 가까웠다고 지적했다.

철강에 대한 탄소 배출 규제가 전 세계적으로 강화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는 차원으로도 풀이된다. 유럽연합(EU)은 2026년부터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를 시행해 철강 등 제품에 대해 탄소세를 부과할 예정이다. 미국도 올해부터 청정경쟁법(CCA)을 적용해 철강 등 품목에 대한 탄소 규제를 강화한다.

업계 관계자는 "부생가스 자가발전 비중이 높았던 철강 업계는 탄소 중립으로 가기 위한 친환경 전력망 확충이 필요하다"며 "중간 단계로 교두보 역할을 할 발전 설비 마련도 시급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1096page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