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냐 해리스냐"…美대선 투표 시작에 숨죽인 韓 산업계
누가 돼도 '보호무역주의' 같지만…"불확실성 큰 트럼프 리스크"
전기차·배터리·반도체 등 첨단산업은 보조금에 촉각…철강은 양쪽 다 험로
- 금준혁 기자
(서울=뉴스1) 금준혁 기자 = 미국 대통령 선거 투표가 5일(현지시간) 시작되면서 국내 기업들은 미국 차기 정부 출범이 미칠 영향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공화당 후보와 카멀라 해리스 민주당 후보가 그간 여론조사에서도 초박빙 구도를 이끌어온 상황에서 누가 당선되느냐에 따라 산업별 유불리가 다르게 작용할 전망이다.
한국경제인협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무역협회 등 경제단체가 그간 발표한 보고서를 살펴보면 민주당과 공화당은 모두 대(對)중국 정책에서 강경기조를 택했다.
민주당은 중국산 철강 및 알루미늄 등에 전략적 표적 관세 정책을 추진해 온 바이든 정부의 '디리스킹(위험 줄이기)' 정책을 계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공화당은 중국의 최혜국대우 지위 철회를 비롯해 무역·투자 분야에서 강력하게 제재하는 '디커플링(관계 단절)'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진영을 떠나 중국을 겨냥한 보호무역주의 흐름은 동일하지만 한국산이 중국산을 대체할 수 있다는 반사이익을 고려하기보단 예상치 못한 불이익을 대비해야 한다는 것이 경제계의 공통된 시각이다.
전기차는 양측이 확연하게 차이 나는 분야다. 청정에너지 확대를 내건 해리스 후보와 달리 트럼프 후보는 "조 바이든 대통령의 친환경 정책을 백지화하겠다"고 말했을 정도로 거부감을 나타내왔다.
트럼프 후보가 대통령이 된다면 완성차 업체인 현대차(005380)·기아(000270)는 물론 연계돼 있는 LG에너지솔루션·SK온·삼성SDI(006400) 등 배터리 3사의 불확실성이 커질 전망이다.
현대차그룹은 4분기 조지아주 신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가동에 들어가고, 첫 타자인 아이오닉5를 비롯한 전기차 라인업이 출격 대기 중이다. HMGMA 인근에는 LG에너지솔루션(373220), SK온과 합작으로 배터리셀 공장도 짓고 있다.
다만 한경협은 "인플레이션감축법(IRA) 보조금의 완전한 철폐는 공화당이 상·하원 모두 다수당을 차지해야 가능한 시나리오로 의회 선거 결과도 함께 지켜봐야 한다"고 분석했다.
관련 업계 반응도 비슷하다. 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이사도 지난 1일 배터리 산업의 날에 참석해 "생산자에 대한 보조금(AMPC)은 큰 변동이 없을 것으로 보고 있고, 소비자한테 가는 택스 크레딧(세액공제)은 변동이 있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반도체는 '국가대항전'이 된 만큼 미중 갈등을 넘어 확전될 것이라는 시각이 있지만, 전기차와 마찬가지로 해리스의 당선이 국내 수출기업에 유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대한상의는 "트럼프는 외국기업의 투자유치를 약속하면서도, 반도체법(칩스법) 등을 폐지 혹은 축소해 바이든 정부 시기에 미국에 투자한 외국기업에 대한 지원금 혜택을 줄여나가려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럼프 후보는 팟캐스트에 출연해 한국과 대만의 반도체 기업을 겨냥해 "그들은 자신들을 보호해 주길 원하면서, 제대로 돈을 내지 않는다"며 "보조금이 부자 기업에 돌아갔다"고 주장한 바 있다.
반도체 업계 관계자는 "둘다 보호무역주의를 추구하기 때문에 누가 되든 크게 달라지는 건 없을 것"이라면서도 "트럼프가 좀 더 불확실성이 있으니 리스크가 있다는 정도"라고 말했다.
제조업의 근간인 철강은 이미 트럼프 1기 시절부터 보호무역주의 영향을 받은 데다, 바이든 정부에서도 제3국이 무역확장법 232조 관세를 면제받기 위해 멕시코를 경유지로 활용하는 경우 25%의 관세를 부과하는 등 누가 되더라도 부정적 여파가 전망된다.
무협의 '미국의 보호무역조치 내용과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집권 당시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에 대해 동맹국을 포함해 전 세계를 대상으로 25%와 10%의 관세를 부과했고, 반덤핑·상계관세 등 수입 규제 신규 조사가 급증했다.
글로벌 무대에서 승승장구 중인 K-방산의 경우 미국 대선 결과에 큰 영향을 받지 않을 업종으로 평가된다. 다만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조기 종식을 주장하는 트럼프 후보가 당선될 시 방산업계는 수요 감소를, 건설기계 업계는 우크라이나 전후 복구 사업에 따른 수요 증가를 예상한다.
rma1921kr@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