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인재, 지역으로 모시려면…"첨단기업 및 정주여건 갖춰야"
대한상의, '청년층의 지역 전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
"공공주택 관리·운영, 지역기업 위탁…무상·저리 임대 필요"
- 김재현 기자
(서울=뉴스1) 김재현 기자 = 청년 인재들이 지방으로 유입되려면 지역 내 반도체·정밀화학·환경·항공·우주 등 첨단기업을 늘리고 이에 따른 정주환경도 갖춰야 전입 효과가 극대화된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는 31일 이런 내용을 담은 '청년층의 지역 전입에 미치는 영향 연구' 보고서를 공개했다.
전국 17개 시도를 대상으로 2006년부터 2021년까지 15년간 청년층(20~39세) 전입과 전출 추이, 첨단기업 사업체 수, 정주환경(교통 접근성, 문화·의료시설 등) 등 청년층의 지역 전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분석한 결과다.
보고서에 따르면, 지역 내 총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이 1%P 증가하면 지역 내 전입인구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0.43%P 증가했다. 첨단기업이 청년층 인구의 지역 유입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셈이다.
교통 편리성과 문화시설 등 정주여건을 전국 평균 이상으로 갖춘 경우로 산정하면 지역 내 총사업체 중 첨단기업 비중이 1%P 증가할 때 청년층의 지역 전입 비중이 0.15%P 추가로 증가해 지역 전입인구 중 청년층이 차지하는 비중이 0.58%P까지 확대되는 것으로 분석됐다.
대한상의 소통플랫폼 조사 결과도 이를 뒷받침한다. 지난 5월 전국의 20·30세대 600여 명에게 '비수도권 거주 의향에 어떤 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지'를 물은 결과 '정주여건'이라는 응답이 41.2%로 가장 많았고, 이어 '연봉과 일자리'(29.8%)로 나타났다.
현재 정부는 첨단산업을 지역에 육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세제·예산 지원 등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지방의 국가 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나 첨단투자지구 지정이 대표적이다.
지역 내 첨단기업이 늘 가능성은 있지만 정작 일할 인재를 확보하는 것은 장담할 수 없다. 청년층을 끌어들일 정주환경 개선 지원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정주환경 개선은 기존 노후화된 산업단지를 주요 대상으로 하고 있어 청년층과 첨단기업이 실질적으로 원하는 장소와는 다소 차이가 있다. 주거 지원 제도가 있어도 소득 수준, 결혼 여부 등 조건도 까다롭다.
보고서는 이에 대한 해법으로 첨단기업 수요 기반의 근로자 임대주택 지원을 강조했다. 특히 안정적 주거 공간 공급을 위해 현재 공공기관에서 운영하는 공공주택의 관리·운영 주체를 지역기업에 위탁하고 공공주택을 기업에 무상 또는 저리 임대하는 방식을 제안했다. 청년층과 기업 선호 입지에 공공주택을 매입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의사결정에 지역 기업의 의견을 반영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강석구 대한상의 조사본부장은 "청년의 지역 전입을 촉진하려면 첨단기업과 정주환경을 동시에 갖추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며 "이를 위해서는 청년층이 다니고 싶은 일터와 정주환경을 기업과 청년 등 수요자가 직접 꾸릴 수 있도록 제도를 정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jh7@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