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돼지열병 백신 개발 시급…"안전성·효능 담보되면 허가해야"

'ASF 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 국회 토론회 열려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백신 국회토론회에에서 전문가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 뉴스1 한송아 기자

(서울=뉴스1) 한송아 기자 = #2019년 국내 처음 발병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은 올해까지 총 40건 발생했다. 특히 작년과 올해에만 12건의 감염 사례로 돼지 총 6만4000여 마리가 살처분되었을 정도로 심각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예방적 차원의 백신 개발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21일 국회 의원회관에서는 'ASF 백신 개발 어디까지 왔나'를 주제로 한 토론회가 열렸다.

이날 방역 당국과 전문가 및 한돈 농가 모두가 한자리에 모여 백신 개발 현황과 연구 지원 및 제도 개선 방안에 대해 열띤 논의를 펼쳤다.

토론회에서는 전문가들의 ASF 국내외 발생 현황, 백신 개발 현황 등 주제 발표에 이어 패널 토론이 진행됐다. 좌장은 조호성 전북대학교 수의과대학 교수(대한수의사회 재난형동물감염병 특별위원장)가 맡았다.

토론에 참여한 전문가들은 효과와 안전성이 확보된 ASF 백신 개발의 필요성에 대해 입을 모았다.

ASF 방역 및 백신 개발 현황에 대해서는 김정주 농림축산식품부 구제역방역과 과장, 강해은 농림축산검역본부 해외전염병과 과장이 공동 주제로 의견을 발표했다.

김정주 과장은 "현재 ASF 생백신 개발은 초기 단계"라며 "부작용을 충분히 검증해 안전성을 담보해야 한다"고 신중한 모습을 보였다.

강해은 과장도 "중국, 베트남, 동남아 국가 모두 만성형 바이러스가 발견되고 있는데, 한국은 그렇지 않은 이유로 불법 백신이 유통되지 않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며 "해외 사례로 백신의 안전성이 충분히 검토된 다음 현장에 적용돼야 함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선우선영 수의학 박사(케어사이드 이사·건국대 겸임교수)는 "백신 개발도 중요하지만, 안전성 기준에 부합하는 백신이 없는 상황에서 집단으로 바이러스가 발생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가에 대한 긴급 대응 체계를 미리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오명준 동산농장 대표는 현장에서 겪는 다양한 애로사항을 전했다. 오 대표는 "우리가 코로나19 백신을 맞고 마스크를 써도 바이러스에 걸린 것처럼 농장의 방역만으로는 100% 질병을 막기 어렵다"며 농가에 책임을 돌리는 실태를 꼬집었다.

이어 그는 “질병 발생을 감지한 농가의 적극적인 신고가 있어야 질병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다”며 "이를 위해서는 살처분 시 농가에 현실적인 피해 보상을 해줘야 한다”고 건의했다.

토론에서는 사육 돼지뿐 아니라 ASF 전파 차단을 위한 야생 멧돼지 백신 개발에 대한 내용도 언급됐다.

정원화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 질병대응팀 팀장은 야생동물의 백신 사용은 신중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정 팀장은 "미끼 백신의 성분은 환경에 독성이 없는 생분해성 재질이어야 하고, 다른 야생동물에 영향을 주지 않아야 한다"고 말했다.

백신 개발사로 참여한 이주용 중앙백신연구소 사장은 "멧돼지용 친환경 미끼 백신 개발을 위해 다양한 실험을 하려면 생물안정 조정심의를 통한 안전성이 검증된 백신 후보주들을 생물안전 3등급 밀폐 실험실(BSL-3)에서 생물안전 2등급 실험실(BSL-2)로 기준 조정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전했다.

선우선영 박사도 야생 멧돼지용 미끼 백신 개발에 대해 의견을 덧붙였다. 그는 "미끼 백신 개발도 사육돼지에 준하는 백신 평가기준 적용이 필요하며, 백신 적용 범위, 위치, 모니터링 등 관리 체계 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토론회를 주최한 홍문표 국민의힘 의원은 "해외에 비해 백신 개발 연구 지원이 턱없이 부족한 것이 현실"이라며 "연말 안에 다시 자리를 갖고 더 구체화된 토론과 성과를 평가하는 자리를 가질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해피펫]

badook2@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