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무 돕지만 기밀 샌다…기업마다 '챗GPT 공존법' 찾기 골몰
삼성전자 "사내 PC로 챗GPT 사용금지"…자체 대화형 AI 개발 검토
SK하이닉스 '허가제'·포스코 '내부 시스템 관리'…美·日 기업도 사용 제한
- 김민성 기자, 배지윤 기자
(서울=뉴스1) 김민성 배지윤 기자 = "챗GPT 입력 한번에 회사 사업 계획서까지 줄줄 올라오는 것을 보면 영업, 기술 등 대외비까지 새어 나가는 건 머지않은 일 같습니다. 업무엔 요긴하게 쓰이지만 '양날의 검'처럼 보안 측면에선 심각히 고민해야 할 상황입니다."(대기업 한 임원)
대기업들이 챗GPT 등 대화형 인공지능(AI) 확산의 부작용으로 꼽히는 '기밀 유출'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느라 부산하다. 그동안 사내 PC에서 카카오톡 같은 메신저 접속을 막는 등 정보 보안을 강화해 왔는데 챗GPT 도입으로 또다른 유출 경로가 생긴 것이다. 챗GPT 사용을 원칙적으로 금지한 기업도 있지만 업무 효율성과 정보 보안 사이에서 챗GPT와 공존 방안을 찾기 위한 고민이 이어지는 모습이다.
3일 재계에 따르면 삼성전자(005930) 디바이스경험(DX) 부문은 기밀 유출 등을 우려해 직원들에게 챗GPT, 마이크로소프트의 검색엔진 빙(Bing)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사용을 잠정 제한하기로 했다. 사내뿐 아니라 회사 밖에서도 생성·대화형 AI를 사용할 때 회사 정보와 개인정보 등은 입력하지 말아달라고 요청했다.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챗GPT에 질문을 할 때 한 번에 1024바이트 이상을 업로드할 수 없도록 조치했다. 챗GPT 사용을 허가한 뒤 곧바로 몇 건의 정보 유출 문제가 불거지면서다.
삼성 내부에서도 챗GPT로 인한 보안 사고에 대한 우려를 느끼고 있다. 삼성전자는 지난달 초 내부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AI 활용에 대한 설문조사를 진행했고 65%가 "사내 사용 시 보안 리스크가 있다"고 응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앞으로 챗GPT를 쓸 수 있는 업무의 종류와 용도를 명시하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할 예정이다.
삼성전자는 자체 생성·대화형 AI를 개발해 직원들의 업무 편의성·효율성을 높이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보안성에선 '구멍'이 있지만 번역, 문서 요약, 소프트웨어 개발 지원 등 업무 측면에선 챗GPT 사용은 효율적이다.
SK하이닉스(000660)는 지난 2월 공지를 통해 원칙적으로 사내망으로 챗GPT를 쓰지 못하게 접근을 제한하고 있다. 챗GPT 사용이 필요한 경우 보안성 검토를 통해 회사 승인을 받아야 하는 일종의 '허가제'를 도입했다.
포스코는 내부 인트라넷을 통해서만 챗GPT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해 정보 유출 가능성을 사전에 방지하고 있다. 사내 협업 플랫폼 '팀즈'에 챗GPT 기능을 도입하는 방식으로 업무 효율과 보안을 동시에 잡겠다는 계획이다.
LG전자(066570)는 아직 챗GPT 활용에 대한 제한은 없지만, 최근 정보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사내 직원을 대상으로 주의점을 공지했다. 앞으로도 사내 정보 보호와 유출 방지 관련 교육을 진행해 평소 임직원의 정보 보안 인식을 높일 예정이다.
해외 주요국에서도 기밀 정보 유출을 우려해 챗GPT 사용을 제한하는 곳이 있다. 전자상거래 업체인 아마존을 비롯해 JP모건체이스, 뱅크오브아메리카, 도이체방크 등 금융기업들도 대화형 AI 사용을 제한했다. 일본에선 소프트뱅크, 파나소닉커넥트, 후지쓰 등이 대화형 AI에 회사 기밀을 입력하지 않도록 했다.
ms@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