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보다 비싼 배추·시금치"…대형마트, 치솟는 채솟값에 공수戰

배추 한 포기 1만 원 육박…대체 채소 가격도 줄줄이 오름세
신규 산지 발굴·사전 계약재배…스마트팜 물량도 20% 늘려

26일 서울 종로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배추 1망 가격이 29800원에 판매되고 있다. 2024.8.26/뉴스1 ⓒ News1 김명신 기자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배추 한 포기에 9933원이요? 치킨 한 마리에 6990원인데."

배추 한 포기 가격이 1만 원에 육박하면서 서민들 장바구니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시금치의 경우 한 달 만에 110% 넘게 폭등해 한 단에 1만 원 선을 돌파했으며 무, 오이, 당근 역시 줄줄이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

26일 서울 종로구의 한 대형마트에서 배추 1망(3포기) 가격이 2만 9800원에 판매되고 있다. 파프리카(3입) 9800원, 오이(5입) 6890원, 미나리 6310원, 무(개당) 4980원 등이다.

특히 시금치의 급등세가 이어지고 있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시금치(100g당)는 이날 기준 3675원으로 지난 1일(1803원) 대비 103.82%, 전월 대비로는 111.21% 올랐다. 특히 대형마트 기준 한 묶음당 300g인 점을 감안할 때 한 단에 1만 원을 넘긴 셈이다.

배추(포기당) 역시 같은 기간 기준 5414원에서 7306원으로 34.94%, 전월 대비로는 37.59% 올랐으며 무의 경우 개당 3901원(36.21%)으로 두 개만 사도 8000원에 육박한다. 오이도 개당 1364원으로, 묶음당 6000~7000원 선에 판매돼 '마트 치킨' 한 마리 값을 훌쩍 넘긴다.

문제는 채소 가격의 급등세가 일부 품목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파프리카(100g당)의 경우 같은 기간 575원에서 1034원으로 두 배 가까이 올랐으며, 미나리(100g당)도 평년 기준에서 98.62%나 뛰었다. 특히 알배기 배추도 51.59%(5032원)나 올라 대체 채소의 부담도 가중되고 있다,

여름철 폭염과 장마로 인해 채소 등 농산물 가격이 급등하고 있다. 사진은 자넌 달 26일 서울 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채소류. 2024.7.26/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밥상 물가가 치솟으면서 대형마트들은 신선식품을 중심으로 물가안정을 위해 산지 직송 확대, 물량처 다변화, 대체 물량 확보 등으로 대응한다는 전략이다.

특히 8월 말부터 9월 초까지 태풍 영향 등 기후 변화에 따라 가격 변동성이 큰 만큼 사전 물량 확보에도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이마트 관계자는 "신규 산지 발굴과 사전 계약재배 확대로 물량 수급에 대응하고 있다"면서 "필수 채소로 인식되는 품목에 대해서는 스마트팜 활용 등을 통해 시세 등락 여부와 관계없이 연중 저렴하게 파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고 말했다.

롯데마트 측도 "시세 상승 폭이 크거나 폭염으로 인한 품질 저하가 우려되는 채소를 대상으로 일반 상품 대비 30% 저렴하게 공급하는 '상생 채소'를 확대하고 있다"면서 "올해 유독 긴 폭염과 장마로 자체 운영 중인 '스마트팜 채소' 농산물 물량을 지난해 대비 현재 20% 이상 늘려 대응하고 있다"고 전했다.

홈플러스도 "상품화 과정을 축소한 ‘산지 그대로' 품목군을 확대하고 있다. 중간 작업 비용을 최소화하면서 가격경쟁력을 강화한 제품"이라면서 "'스마트팜 재배'를 30% 늘려 물량을 공수하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전통시장 대비 여전히 채솟값이 비싸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육류의 경우 규모의 경제, 직경매 등 영향으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 '마트 치킨'이 가능한 배경"이라면서 "채소의 경우 산지 개발, 품질 인증을 위한 투자 등 추가 개런티가 발생한다. 작황이나 출하 시기, 품목, 수급 현황에 따라 가격이 최저인 경우도 있어 각 사 제철 물량 공급 시기나 할인 기간, 3사 혜택 비교 등을 적극 활용하면 시장보다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했다.

lil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