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연료는 다 받으면서" …"값 내리세요" 최민식 일갈에, 영화관 '애간장'
최민식 "코로나 이해하나 확 올라, 나라도 안 가"
광복절 관객 128만→85만 뚝…"배우 개런티도 비용인데"
- 서미선 기자
(서울=뉴스1) 서미선 기자 = "지금 극장 값도 많이 올랐잖아요. 좀 내리세요. 갑자기 그렇게 확 올리면 나라도 안 가요. 예를 들어서 지금 (푯값이) 1만5000원이죠. 그럼 스트리밍 서비스하면 앉아서 여러 개를 보지."
배우 최민식이 최근 사람들이 영화관을 찾지 않는 이유 중 하나로 '푯값 인상'을 지목하면서 영화관 업계가 애간장을 태우는 분위기다.
올해 1분기 '빅3' 업체가 나란히 실적 개선을 이루긴 했지만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하면 '완전한 회복'과는 거리가 있는 데다 또다시 '티켓값 이슈'가 불거지면서 부정적 여론이 촉발될지 하는 우려에서다.
20일 업계 등에 따르면 최민식은 17일 방송된 MBC '손석희의 질문들'에 출연,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 등 새 플랫폼 변화를 배우는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를 질문받고 "세상을 탓해 봤자 어떡하겠나. 세상은 변하고 있다"면서 이같이 답했다.
그는 "이 사람들도 코로나19 때 죽다 살아난 사람들이니까 심정적으로 이해는 된다"면서도 "굉장히 부담되는 가격은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관객을 어떻게 극장으로 끌고 들어올 것이냐는 콘텐츠의 문제"라며 '작가정신'과 함께 올해 첫 '천만 영화'인 자기 출연작 '파묘'를 언급했다.
영화관 업계에선 이에 대해 또다시 '가격 이슈'로만 시선이 몰릴지 우려하는 반응이 나온다.
영화관 빅3는 지난해 '영화관람료 7000원으로 한시 인하' 프로모션을 논의하다 수익 배분을 놓고 이해관계자들 간 이견으로 결국 무산을 맞았고, 올해는 정부가 일명 '그림자 세금' 정비를 추진하며 '푯값 500원 인하'가 언급돼 공감이 안 된다는 시민들 반응을 맞닥뜨렸다.
영화관 업계 한 관계자는 "지난해 광복절엔 128만 명이 극장을 찾았는데 올해는 85만 명 정도밖에 안 찾은 상황"이라며 "그 원인을 그냥 가격으로만 포커싱하는 것은 근본 해법은 아닐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영화관과 OTT 구독료를 비교했는데, 이제는 비교 기준이 달라져야 한다"며 "가령 라면을 밖에서 먹었을 때의 외식 물가와 집에서 먹으려고 제조사에서 사는 라면 가격과는 비교를 안 하지 않나"라고 예시했다. 영화 산업도 제반 상황을 폭넓게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또 "손익분기점을 넘어, 또 다른 영화가 만들어지기 위해서는 창작자와 제작자, 배급사, 극장사가 산업 내에서 잘 돌아가게 할 수 있게 제값을 받아야 하는 것"이라며 "(영화관이) 죽다 살아난다고 했는데, 여전히 살만하진 못한 상황이기도 하다"고 토로했다.
살만해지려면 영업이익뿐만 아니라 당기순이익, 세전이익을 내야 하는데 그러기는커녕 누적 적자도 적잖은 처지여서다.
일각에선 "어차피 배우 개런티는 다 받으시지 않느냐"는 볼멘소리도 있었다.
영화관 업계 다른 관계자는 "말은 1만5000원이라고 하지만 이건 주말 성인 기준 '프라임 타임' 가격으로, 평균 객단가는 1만 원 수준"이라고 말했다. 실제 할인 프로모션 등으로 평균티켓가격(ATP)은 9600원대에서 1만500원대를 맴돌고 있다.
정부의 준조세 폐지를 통한 '푯값 500원 인하'와 관련해선 인하하더라도 관객 입장에서의 체감이 얼마나 될지를 두고 다소 회의적 반응이 있었다.
이는 영화관람료 가액의 3%(1만5000원이면 450원)를 징수하는 영화관람료 부과금을 폐지하겠다는 것이다. 이를 위해선 '영화 및 비디오물의 진흥에 관한 법률'을 개정해야 하고, 폐지되더라도 티켓값 인하 의무는 없다.
한 관계자는 "극장 3사의 임대료, 관리비, 인건비, 매출 구조 등이 모두 비슷해 인하 요인이 생겼다면 각 사가 자율 판단해 내릴 수도 있다"면서도 "마지막 푯값 인상이 2022년 4월로, 내년 1월이면 3년 가까이가 되는데 인하 요인이 생길진 의문"이라고 말했다.
smith@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