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출수수료 戰' 재점화 되나…홈쇼핑업계 "신성장 동력 발목"

온오프라인 채널 경쟁 격화 속 실적 하락세
재승인 제도 등 부담 가중…업황 회복 '회의적'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서울=뉴스1) 김명신 기자 = 유통 소비 트렌드 변화에 따른 온·오프라인 과열 경쟁과 업황 악화 속 홈쇼핑업계를 둘러싼 규제와 수수료 논란 등이 재점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송출수수료 1차 협상 마감 시한이 오는 8월 말로 예정된 가운데 지난해 방송사업자들의 송출수수료와 콘텐츠 사용료 등이 공개되면서 수년째 아젠다가 되는 갈등이 또다시 불거질 전망된다.

14일 업계에 따르면 방송통신위원회는 조만간 지상파, 유료방송,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 등 357개 방송사업자의 '2023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을 발표한다.

지난해 방송사업자들 매출과 점유율, 방송광고매출 등이 공개될 예정으로, 특히 홈쇼핑업계 숙원이 되는 송출수수료 매출액 증가율에 따른 수수료 현실화 논란이 재기 될 것으로 관측된다.

방통위 '2022년 회계연도 방송사업자 재산상황'에 따르면 방송사업자들의 총매출은 20조 원에 육박했다. 전체 방송사업 매출은 전년 대비 2.6% 증가한 19조9137억 원으로,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의 매출은 1조6362억 원, IPTV 961억 원 등이다.

특히 홈쇼핑 송출수수료 매출액 증가율은 7.4%로 방송사업자 주요 수익원별 증가율에서 2위에 해당한다. 업계에서는 지난해에도 비슷한 수준의 증가율이 될 것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방송 매출의 60% 이상이 송출수수료다.

A 홈쇼핑업계 관계자는 "일부 업체의 경우 송출수수료가 70%를 넘은 곳도 있고 판매를 할수록 적자인 곳도 있다"면서 "송출수수료의 현실 반영이 절실하지만 여전히 양측이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는 만큼 올 하반기 송출수수료 갈등도 만만치 않을 것 같다"고 예상했다.

홈쇼핑업계 송출수수료를 둘러싼 갈등이 봉합되지 못하는 배경에는 구조적인 문제와 맞닿아 있다. 유료방송사업자는 지상파 사이에 있는 S급 채널(10번 대 이하)에 가장 높은 송출수수료를 매긴다. 업체들은 영업이익 하락에 따른 비용 부담으로 타 채널로의 변경을 요청해도 받아들여지지 않는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높은 수수료를 부담하면서 채널을 유지해야 한다는 것이다.

실제 홈쇼핑 업체들은 매출과 영업이익 모두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CJ ENM(035760) CJ온스타일은 지난해 매출 1조4479억 원으로 전년 대비 1.3% 감소했다. GS리테일(007070) GS샵은 8.7% 줄어든 1조1311억원, 현대홈쇼핑(057050) 2.5% 감소한 1조743억원, 롯데쇼핑(023530) 롯데홈쇼핑은 12.6% 하락하며 9416억 원을 기록했다.

/뉴스1 DB

홈쇼핑은 백화점, 마트와 e커머스의 중간 입지에서 고급화 전략이나 가격 경쟁력에서 비교우위를 선점하지 못하면서 업황 부진이 이어지고 있다. 원가 절감을 위한 PB 상품 강화, 모바일화, IP사업 확장 등 자구안 마련에 나섰지만 주요 고객인 시청자 감소 등 구조적 문제가 이어지면서 향후 실적 방어도 녹록잖은 상황이다.

여기에 최근 중소기업·소상공인 전용 T커머스(텔레비전 커머스) 신설 논의가 본격화되면서 점유율 경쟁도 대비해야 한다. 홈쇼핑업계에서 60~70% 이상이 중소기업 제품이기 때문이다.

'재승인 제도 규제 완화'에 목소리가 모아지는 배경이다. 홈쇼핑은 정부의 인허가 사업으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재승인을 받아야 한다. 과기정통부에 따르면 현대홈쇼핑과 NS홈쇼핑은 내년 5월 27일과 6월 3일 재승인 기간이 만료된다. 롯데홈쇼핑은 2026년, GS샵과 CJ온스타일은 2027년 재승인을 받아야 한다.

C 홈쇼핑업계 관계자는 "규제 기관이 많은 데다 재승인 항목도 부담으로, 재승인 기준을 지키느라 신사업을 펼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라면서 "새로운 성장 동력만이 업계 생존 모색을 할 수 있는 처지다. 재승인이나 송출수수료의 현실 반영이나 규제 완화에 한목소리를 내는 이유"라고 말했다.

업계 관계자는 "수수료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가 없는 데다 '홈쇼핑 송출료 대가검증협의체' 역시 강제성이 없어 실효성이 의문"이라면서 "홈쇼핑 규제들이 경쟁력 제고를 저해한다는 점도 있지만 무엇보다 판매수수료 인상에 따른 협력사의 부담 가중과 소비자에게 가격 전가 우려도 있다. 시장질서가 무너지고 있는 만큼 업계 선순환을 위해 정부가 나서서 중재를 해주기를 바라지만 홈쇼핑, 플랫폼, 방송사업 등 이해관계가 얽혀있는 만큼 해결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lila@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