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리아 디스카운트 불지핀 '정치'…'불확실성'에 떤다[2025 증시전망]②
센터장들 "시장 영향 제한적" 평가해도 '발목 잡기' 위험엔 한목소리
"환율 급등 경험이 외국인 우려 자극할 수도"…"조속한 해소 필요"
- 박승희 기자
(서울=뉴스1) 박승희 기자 = 코리아 디스카운트(한국 증시 저평가) 해소를 위해 정부가 다방면으로 노력했지만, 올해 코스피 성적은 처참했다. 대내외 불안 요소에 비틀대던 코스피에 정치적 불확실성은 결정타를 날렸다. 증시 전문가들은 내년 시장 회복을 위해선 정치 리스크의 조속한 해소가 필수적이라고 입을 모았다.
3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들어 코스피는 270.32포인트(p)(10.13%) 내린 2399.49로 장을 마쳤다. △미국 나스닥(33.56%) △대만 가권(29.89%) △닛케이225(19.85%) △상해종합지수(15.02%) △독일 DAX(19.17%) 등과 비교하면 처참한 수치다. 심지어 하락세를 보였던 CAC40마저 2%대 하락에 그쳤다.
올해 상반기 코스피는 밸류업(기업 가치제고) 정책 기대감에 상승 랠리를 이어갔다. 외국인 투자자 순매수에 힘입어 7월 11일엔 2897.35로 연고점을 찍으며 2900선을 넘봤다. 하지만 하반기 들어 글로벌 경기 부진과 수출 둔화, 내수 부진, 트럼프 2기 관세 불안감이 반영되며 지수가 흔들리며 2400선을 중심으로 등락을 거듭했다.
상반기 외국인들은 코스피 주식을 22조 4226억 원어치 순매수했지만, 하반기 들어 21조 1133억 원을 순매도하고 떠났다. 이진우 메리츠증권 리서치센터장은 "외국인들의 수급이 절실한데, 투자자들은 낮은 기대수익률에 코스피를 떠나고 있다"며 "코로나 이후 코스피 연평균 성장률은 3.5%로 S&P500(13.8%), 닛케이(10.7%)와 비교하면 현저하게 낮다"고 지적했다.
전 세계가 산타랠리에 환호하던 2024년의 12월, 코스피는 끝내 회복의 기회를 잡지 못했다. 지난 3일 윤석열 대통령이 선포한 비상계엄으로 정치 불확실성이 크게 확대된 탓이 컸다. 계엄 사태는 탄핵 정국으로 번졌고, 탄핵안이 한 차례 부결 끝에 가결된 이후에도 정세는 여전히 안갯속이다.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까지 탄핵소추되며 정국은 예상하기 어려운 방향으로 전개되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정치적 요인만으로 한국 증시가 급락하진 않으리란 의견이 우세하다. 박희찬 미래에셋 센터장은 "전쟁 같은 극단적인 시나리오가 없다면 정치 변수의 시장 영향력은 제한적"이라고 짚었다. 하나증권 센터장도 "정치적 이슈보다는 펀더멘털이 주식 시장에는 더욱 중요하며, 국내 수출 경기가 언제쯤 턴어라운드할 수 있을지가 관심"이라고 했다.
하지만 정치적 불확실성이 증시 발목을 잡을 수 있다는 데는 일치된 의견이다. 한화투자증권 센터장은 "탄핵 소추안 투표 불성립, 가결을 거치면서 달러·원 환율이 상승한 경험을 했다"며 "헌법재판소 탄핵 경험 여부, 조기 대선 등이 남아있지만 이 모두가 정치적 불확실성으로 외국인에게 부담이 될 것이고, 이는 국내 시장에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증권가에서는 내년 하반기 이후 기업 이익 회복이 가시화되면 증시가 반등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드러내 왔다. 내년 3월 공매도가 재개되면 외국인 자금 유입도 늘 것이란 전망도 있었다. 하지만 외국인 투자자들이 정치적 불확실성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탈을 지속하면 지수 회복은 제한적일 수밖에 없다. 정국 불안에 달러·원 환율은 최근 1486.70원을 찍었다. 불확실성은 한국 증시 매력 하락뿐만 아니라, 기업 경영 환경에도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 중이다.
안갯속 정세에 증시 시나리오는 복잡하게 얽혀 있다. 전문가들은 불확실성의 빠른 종식이 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신중호 LS증권 전 리서치센터장은 "헌법재판소 결정 지연이나 기각 경우에는 정책 모멘텀이 힘을 잃으며 불확실성이 지속될 수 있고, 정권 교체 시엔 미국 외교 스탠스, 성장 정책에 대한 문제가 수면 위로 오를 수 있다"며 "상황이 가장 짧게 지나가는 것이 불확실성 최소화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정치적 불확실성을 줄이는 동시에 자본시장 선진화 과제도 꾸준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일련의 사태로 코리아 디스카운트의 주요 원인으로 정치적 불확실성이 대두됐지만, 이외 그간 지적되던 구조적 요인에 대한 관리도 병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IBK투자증권 센터장은 "기업가치 개선 정책은 장기적으로 집행돼야 하는 과제로, 앞으로 정부와 거래소의 일관적인 정책 유지가 필요하다"고 했다. 이외에도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강화, 페널티 부과, 주주 권익 보호 정책 등이 거론됐다.
seunghe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