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PF 정상화로 가는 길…저축은행은 ‘고난의 행군’

금융당국, 경영실태평가 나서…부동산PF 사업장 5000곳 직접 들여다본다

인천 연수구 송도신도시 신축아파트 공사현장의 모습. 2023.12.26/뉴스1 ⓒ News1 김도우 기자

(서울=뉴스1) 박재찬 보험전문기자 = 금융당국의 저축은행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정상화를 위한 압박이 본격화되고 있다. 금융감독원은 부동산PF 사업성 평가 기준을 강화하고, 약 5000곳의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별도로 진행하고 있다. 또 부실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분기별 경영실태평가도 실시할 계획이다.

당국의 압박으로 저축은행은 충당금 확대에 나섰고, 이는 수익성 감소와 신용등급은 하락으로 이어졌다. 또 여·수신은 2021년 이후 최저를 기록했다. 이같은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정상화 및 건전성 개선을 위한 ‘고난의 행군’은 연말까지 계속 이어질 전망이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지난해 말부터 올해 1분기까지 두 분기 연속 연체율과 고정이하여신(부실채권) 비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를 한다.

금감원이 저축은행을 대상으로 경영실태평가에 나서는 것은 지난 2011년 저축은행 사태 이후 10여 년 만이고,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자기자본비율이 아닌 자산건전성 기준으로 경영실태평가에 나선 것은 사상 처음이다.

당국은 저축은행의 연체율이 안정될 때까지 분기별로 경영실태평가를 이어갈 예정이다. 2분기와 3분기도 연체율은 더 상승할 것으로 보여 경영실태평가 대상 저축은행은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금융당국은 다음 달 초까지 연체나 만기연장이 많은 부동산PF 사업장을 대상으로 사업성 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이번 평가는 기존 ‘양호-보통-악화우려’의 3단계 평가등급에서 ‘양호-보통-유의-부실우려’의 4단계로 강화된 기준을 적용한다.

또 부동산PF 사업성 평가와는 별개로 금감원은 저축은행·캐피탈 업계에 부동산PF 사업장 상세 정보를 요청했다. 금융사가 제출한 사업장 정보를 토대로 내부 점검 기준에 따라 약 5000곳에 달하는 사업장에 대한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 같은 금융당국의 강도 높은 관리에 충당금 부담이 커지면서 저축은행은 올해 1분기 1543억 원의 적자를 기록했다. 그리고 연체율 상승, 건전성 및 수익성 악화는 저축은행의 신용등급 강등과 예금보험료 요율 인상으로 이어졌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저축은행의 '돈줄'도 점점 마르고 있다. 4월 말 기준 저축은행 여신 잔액은 100조 7456억 원으로 전월 101조 3777억 원 대비 6321억 원 줄었다. 지금의 감소세가 유지된다면 2021년 11월 이후 처음으로 100조 원선이 무너질 전망이다. 같은 기간 수신 잔액은 102조 9747억 원으로 전월 대비 7702억 원 줄었다. 이는 2021년 12월 이후 가장 작은 규모다.

저축은행은 여·수신 규모를 줄이면서 건전성 관리에 집중하고 있다. 부실채권 관리를 위해 대출 영업을 보수적으로 관리하면서, 신규 자금 유치의 필요성도 낮아졌다. 또 이자 비용 절감을 위해 수신 규모도 축소하고 있다.

금융권에서는 이 모든 과정이 부동산PF 대출 정상화 및 건전성 개선을 위한 일련의 과정으로 보고 있다. 저축은행 업계 역시 부동산PF 정상화 과정이라는 점에서는 동의하면서도 추진 속도가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금융당국은 경·공매를 통한 부동산PF 사업장 재구조화 및 정리를 추진하고 있다. 경·공매를 통한 부동산PF 사업장을 처분하게 되면 저축은행의 손실 인식이 불가피하다. 부동산PF 손실 처분은 지방을 거점으로 하는 중소형 부실은행들에는 부담이 더 클 것으로 보인다.

여기에 금융당국은 수도권 인수·합병(M&A) 규제 완화를 검토하고 있다. 지방 대형 저축은행의 수도권 진출 허용이 골자인데, 당국의 부실 저축은행 정리 방침과 맞물리면서 업계는 불안감에 휩싸이고 있다. 몇몇 저축은행들이 매각 대상으로 거론되고 있지만, 실제 매물로 나온 저축은행은 아직 한 곳도 없다.

업계 관계자는 “당국의 빠른 결단으로 부동산PF 대출 정상화에 속도가 붙는 것은 긍정적이지만, 대부분이 저축은행들의 손실을 감안한 정책들이라서 중소형사는 물론 대형 저축은행들도 부담스러운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jcppar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