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PBR주 이어 '국내투자 ISA' 1000만원 비과세…증시 부양책 통할까

금융당국 이달 중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발표…PBR 순위 공개
ISA 납입 한도 연간 4000만원으로 상향…금투세도 전면 폐지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거래소에서 '상생의 금융, 기회의 사다리 확대'를 주제로 열린 네 번째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대통령실 제공) 2024.1.17/뉴스1 ⓒ News1 오대일 기자

(서울=뉴스1) 김정은 기자 = 정부가 '코리아 디스카운트'를 해소하기 위한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낮은 주가순자산비율(PBR)을 높이기 위한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도입을 예고한 데 이어 국내 투자형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신설, 비과세 한도를 대폭 상향하고 나섰다. 정부가 증시 부양에 강한 의지를 드러내고 있는 만큼 '1월 효과'조차 무색했던 증시가 활기를 띨 수 있을지 이목이 쏠린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이달 중 발표할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상장사 주가가 기업가치보다 낮게 평가되는 현상을 극복하고 시장 평가를 제고할 방침이다. 주가순자산비율(PBR)과 자기자본이익률(ROE), 주가수익비율(PER) 등을 기준으로 삼은 상장사 순위를 공개하는 등의 방안이 포함됐다.

또 정부는 일반 ISA와 국내 투자형 ISA의 납입·비과세 한도도 대폭 상향했다. ISA는 상장지수펀드(ETF)나 리츠(REITs), 예·적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하며 절세 효과까지 얻을 수 있어 '만능 통장'으로 불린다.

전날 기획재정부는 ISA 납입 한도를 2000만원 (총 1억원)에서 연간 4000만원(총 2억원)으로 늘린다고 밝혔다. 여기에 일반 ISA의 경우 비과세 한도를 200만원(서민·농어민형 400만원)에서 500만원(서민·농어민형 1000만원)으로, 국내 투자형 ISA는 일반의 2배인 1000만원(서민·농어민 2000만원)까지 상향했다.

아울러 정부는 내년 도입 예정이었던 금융투자소득세(금투세) 전면 폐지도 추진한다. 금투세는 국내 주식 수익이 연 5000만원, 기타 금융상품 수익이 연 250만원일 경우 수익에 대해 최대 27.5%를 세금으로 부과하는 제도다.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등 정부의 증시 부양책은 일본을 벤치마킹하고 있다. 지난해 일본 도쿄증권거래소는 상장 업체 중 주가순자산비율(PBR)이 1배 이하인 3300여곳에 주가 부양을 위한 개선책과 구체적인 이행 목표를 공시하도록 요구했다. 최근 일본의 대표 주가지수 닛케이225 평균주가가 34년만에 최고치를 경신하는 등 활황을 맞고 있다.

전문가들은 기업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주식 시장에 반영될 것으로 내다보는 한편, 미국 나스닥 지수와 연동된 일본 증시와 달리 국내 증시는 나스닥과 홍콩항셍 지수의 평균에 수렴하는 경향이 강한 만큼 정책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놨다.

김재은 NH투자증권 연구원은 "기업의 변화 가능성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가 주식시장에 반영될 것"이라며 "기업들이 저평가된 이유를 분석하여 대응 전략을 마련하고, 이를 투자자들에게 적극적으로 소통하는 것만으로도 밸류에이션과 주가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일본 증시는 증시 부양책 뿐 아니라 나스닥에 연동됐다는 점도 큰 영향을 미쳤는데, 한국 증시는 수출 구조로 인해 나스닥과 홍콩항셍지수의 평균값과 유사한 흐름을 보인다"며 "중국 증시에는 보수적인 관점을 유지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일본과는 달리 한국 주식시장에서의 정책 기대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 자본시장 제도 개선이 외국인 자금의 유입 근거가 될 수 있단 점에선 긍정적일 수 있으나, 개인들의 주식 투자 참여 여력이 크지 않다는 점도 한계로 꼽힌다.

KB증권에 따르면 일본의 가계자산에서 현금·예금 비중은 34.5%로 매우 높은 반면 한국은 15.5%에 불과하다. 비금융자산 (부동산 포함)이 차지하는 비중은 일본은 37.0%, 한국은 64.4%다. 즉 유동화하기 쉬운 자금 비중에 큰 차이가 있단 지적이다.

1derland@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