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해외부동산 대체투자 56조…2조6000억원 '부실' 우려

전 분기 대비 7000억원 감소…보험이 31.2조원으로 가장 많아
단일사업장 34.7조원 중 2.61조원서 EOD 사유 발생

2022.12.30/뉴스1 ⓒ News1 임세영 기자

(서울=뉴스1) 김현 기자 =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이 올해 6월말 기준 56조원을 넘어섰다. 같은 기간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중 2조6000억원에서 부실 우려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금융권의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잔액은 올해 6월말 기준 56조3000억원으로, 전분기 대비 7000억원이 감소했다. 이는 금융권 총자산 7081조6000억원의 0.8% 수준이다.

금융권별로는 △보험 31조2000억원(55.3%) △은행 11조7000억원(20.7%) △증권 7조8000억원(13.8%) △상호금융 3조6000억원(6.4%) △여전 2조1000억원(3.6%) △저축은행 1000억원(0.2%) 순이었다.

지역별로는 북미가 35조2000억원(62.5%)으로 가장 많았고, 유럽 10조5000억원(18.6%), 아시아 3조9000억원(7.0%), 기타 및 복수지역 6조7000억원(11.9%) 등이었다.

만기 분포를 보면 2024년까지가 4조6000억원(8.2%)이고, 오는 2030년까지 43조4000억원(77.0%)의 만기가 도래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자산건전성과 관련해선 올해 6월말 금융회사가 투자한 단일 사업장(부동산) 34조7000억원 중 2조6100억원(7.50%)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했다. 2분기 중 1100억원이 증가해 지난 1분기 상승폭 900억원과 유사했다. 기한이익상실이란 투자 위험이 커졌다고 판단해 만기 전에 빌려준 돈을 회수하는 것을 뜻한다.

금감원 관계자는 "통화정책 피벗 기조에도 불구하고 해외 부동산 시장 개선 지연 등으로 해외 부동산 대체투자 금액은 전분기 대비 감소했다"며 "국내 금융회사 투자 비중이 높은 오피스 시장을 중심으로 개선이 지연되는 등 투자자산 부실화 및 손실 확대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와 관련, 지난 9월말 공실률(Moody’s CRE)을 보면 오피스는 20.1%로 가장 높았고, 이어 산업시설 6.7%, 아파트 5.8%, 소매 10.3%였다.

다만 해외부동산 투자 잔액이 총자산 대비 규모가 크지 않고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등 감안시 투자손실이 시스템 리스크로의 전이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금융당국은 판단하고 있다.

금감원은 금융회사의 건전한 대체투자 관행 확립을 위해 대체투자 업무 프로세스 전반에 대한 점검·개선을 지속하는 한편, EOD 등 특이동향 사업장에 대해 밀착 모니터링하고 금융회사의 적정손실인식 및 충분한 손실흡수능력 확충 유도 등 감독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해외 부동산 데이터베이스(DB) 지속 보완과 신속보고체계 운영 등을 통해 리스크 대응체계를 고도화할 계획이다.

gayunlove@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