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말 많던 '대환대출 플랫폼', 이르면 내년 5월 시행

금결원 '대출 이동 시스템' 개발 시간 고려해 상반기 중 시범운영 시작
금융회사도 자체 플랫폼 만들어 참여할 듯…대환에 마이데이터 활용 가닥

ⓒ News1 최수아 디자이너

(서울=뉴스1) 서상혁 기자 = 핀테크 플랫폼을 통해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도와주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이르면 내년 5월 가동될 전망이다. 은행들의 '빅테크 종속' 우려로 지난해부터 금융권과 핀테크 업계는 대환대출 플랫폼 시행 여부를 두고 진통을 겪어 왔는데, 마침내 구체적인 시간표가 정해진 것이다. 금융당국은 핀테크 업계뿐 아니라 카드나 은행 등 금융권도 자체 플랫폼을 만들어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는 방안도 허용하기로 했다.

6일 <뉴스1> 취재를 종합하면 금융당국은 금융권, 핀테크 등 관련 업계와 최근 이 같은 내용에 합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대환대출 플랫폼이란 은행과 저축은행 등 금융권의 대출 상품을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비교해보고 갈아탈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를 말한다.

비대면으로 기존 대출금 상환·신규 대출 실행이 이뤄지도록 하는 금융결제원의 '대출 이동 시스템'와 각 금융회사의 대출 상품을 한데 모아 비교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핀테크 업체의 '대출 비교 플랫폼'이 합쳐진 형태다.

당국과 업계는 금융결제원이 구축 중인 '대출 이동 시스템(대환대출 인프라)' 개발에 향후 6개월가량 소요되는 점을 감안해 내년 5월부터 시범 운영을 시작하기로 잠정 합의했다. 다만 중·소형 저축은행이나 여신전문금융회사의 경우 전산 개발에 시간이 더 소요될 수 있는 만큼, 1~2개월가량 더 늦춰질 가능성도 있다.

핀테크 업계는 금융회사와 자율적으로 제휴를 맺고 대환 상품 비교·추천 서비스를 제공하게 된다. 다만 금융당국은 금융권의 요청에 따라 카드사나 은행 등 금융업계도 자체적으로 플랫폼을 만들어 대환대출 플랫폼에 참여하는 방안을 허용하기로 한 것으로 전해졌다.

대환 과정엔 마이데이터를 활용하는 쪽으로 가닥이 잡혔다. 핀테크 플랫폼이 대환을 중개하려면 차주가 보유한 대출의 금리나 한도 등 현황 정보가 필요한데, 이를 마이데이터를 통해 받는 대신, 중도상환수수료 등 마이데이터를 통해 받을 수 없는 정보는 금융회사가 금융결제원을 통해 제공하기로 했다.

핀테크 플랫폼이 수취하는 중개 수수료율이나 각종 부작용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 제한 조건은 향후 꾸려질 협의회를 통해 정해질 예정이다.

대환대출 플랫폼이 가동되면 가계대출 차주들은 은행 등 금융회사 영업점을 방문할 필요 없이 편하게 대출을 갈아탈 수 있게 된다. A은행의 대출을 보유한 차주가 B은행 대출로 갈아탈 경우를 예로 들면, 현재는 차주가 직접 A은행 영업점으로부터 원리금 확인서류를 받아 B은행 영업점에 제출해야 한다. 이후 B은행 영업점이 A은행 영업점을 찾아 차주의 대출을 상환한다. 하지만 앞으로는 일련의 대환과정이 모두 비대면으로 진행되며, 차주가 직접 갈아탈 대출을 비교해보고 추천도 받을 수 있게 될 전망이다.

금융당국은 지난해 하반기에도 업계와 대환대출 플랫폼을 추진했다. 하지만 은행권이 빅테크 종속이 가속화될 것이라며 우려하자 금융당국은 계획을 잠정 보류했다. 당시 가계대출 잔액이 급격히 늘었던 점도 영향을 미쳤다.

논의가 급물살을 탄 건 지난 7월부터다. 당시 여야는 금융당국과 관련 업계를 불러 대출 차주의 이자 부담 경감을 위해 조속히 대환대출 플랫폼을 출범시킬 것을 주문한 바 있다. 시장금리 상승으로 대출 금리가 빠르게 오르고 있는 만큼, 취약계층을 비롯한 서민의 이자 부담을 줄이겠다는 취지로 대환대출 플랫폼을 꺼내든 것이다.

금융권과 제휴를 맺고 자체적으로 대환 서비스를 제공하는 플랫폼이 등장한 만큼, 은행들도 마냥 반대하긴 어려웠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핀크는 지난 7월부터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대환대출 전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hyuk@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