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투자 삼매경? 뜨거운 'K-불장'…원화 거래량, 달러 거래량 제쳤다

알트코인에 치중한 국내 시장…신규 코인 상장하면 거래량 폭발
해외는 스테이블코인 통한 거래 선호…달러 기반 거래량 줄어든 점도 영향

마이크로소프트 '코파일럿(Copilot)' AI로 생성한 그림. 김치프리미엄을 묘사했다.

(서울=뉴스1) 박현영 기자 = 올해 들어 가상자산(암호화폐) 시장이 다시 활기를 띤 가운데, 1분기 원화(KRW)를 통한 가상자산 거래량이 달러를 통한 거래량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원화를 통한 거래는 국내 5대 원화마켓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고팍스)에서만 가능하다. 국내 거래량만으로 세계 기축통화인 달러를 통한 거래량을 넘어선 셈이다.

◇국내 시장, 알트코인에 치중…'고위험 고수익' 선호에 거래량 폭발

16일 가상자산 리서치 업체 카이코의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1분기 중앙화 거래소 내 원화를 통한 누적 거래량은 총 4560억달러(약 631조원)다. 같은 기간 달러를 통한 거래량은 4450억달러(약 616조원)였다.

블룸버그는 해당 리서치를 인용, 원화를 통한 거래량이 늘어난 원인을 크게 두 가지로 분석했다. △최근 한국 거래소들의 수수료 경쟁으로 거래량이 증가한 점 △한국 시장이 알트코인 거래에 치중해 있는 점 등이다.

지난해 말 빗썸을 시작으로 최근까지 국내 거래소들은 수수료 경쟁에 돌입했다. 빗썸과 코빗이 올해 2월까지 수수료를 전면 무료화했고, 고팍스도 주요 가상자산의 수수료를 면제한 바 있다. 1위 사업자인 업비트의 점유율을 가져오기 위한 이 같은 시도들이 한국 투자자들의 투심을 자극했다는 분석이다.

단, 국내 전문가들은 수수료 경쟁보다는 알트코인에 치중된 거래 환경이 더 큰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고 있다. 비트코인(BTC) 거래가 주 이뤄지는 해외와 달리, 국내 시장은 고위험 알트코인 거래에 치중돼 있다.

국내 알트코인 거래량은 전체 가상자산 거래량의 80% 이상이다. 시가총액 규모가 작아 가격 변동성이 크고, 그만큼 고수익을 노릴 수 있는 가상자산을 선호하는 것이다.

국내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는 "업비트, 빗썸 같은 대형 거래소에 신규 코인이 상장되면 거래량이 폭발하면서 비트코인보다 많이 거래되는 경우가 다반사"라며 "올해 초 상승장이 시작된 이후에는 그런 경향이 더 짙었다"고 말했다.

◇국내, 스테이블코인·DEX '선호 안해'…원화 통한 '간단한 거래' 비중 높아

이외에도 △국내 투자자들이 탈중앙화거래소(DEX)보다 중앙화 거래소를 많이 쓰는 점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거래보다 법정화폐를 통한 '간단한 거래'를 선호하는 점 등도 영향을 줬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카이코 데이터에 테더(USDT), USDC등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거래량은 빠져 있다. 시가총액 규모로 전 세계 3위인 USDT와 6위인 USDC는 모두 달러에 1:1로 연동되는 스테이블코인이다.

해외에선 달러를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해 거래하려는 수요가 높다. 탈중앙화거래소(DEX)나 디파이(탈중앙화 금융) 서비스에서 스테이블코인이 기축통화로 쓰이기 때문이다.

반면 DEX보다 업비트, 빗썸 같은 중앙화 거래소를 선호하는 국내 투자자 입장에선 법정화폐를 스테이블코인으로 전환해 투자하려는 유인이 적다. 중앙화 거래소에서 원화로 가상자산을 구매하는 '간단한 거래'를 선호하므로 달러보다 원화를 통한 거래량이 더 크게 집계됐다는 분석이다.

김민승 코빗 리서치 센터장은 "스테이블코인 마켓이 법정화폐 마켓보다 거래량이 크다"라며 "카이코 데이터에는 달러 연동 스테이블코인을 통한 거래량이 빠져 있어, 상대적으로 원화를 통한 거래량이 크게 나왔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더해 달러를 사용하는 시장에서 거래량이 줄어든 점도 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원화를 통한 거래량이 증가한 영향도 있으나, 동시에 달러를 통한 거래량은 줄었다는 것이다.

김 센터장은 "FTX 사태와 미국 '3S' 은행 파산 사건 이후 해외 중앙화 거래소의 비트코인 보유량은 지속적으로 감소 중이다. SEC의 바이낸스 기소 이후엔 마켓메이커들도 활동이 줄었다"며 "달러를 통한 거래량 자체가 줄어든 영향이 크다고 본다"고 설명했다.

hyun1@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