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금융사고·내부통제 비판에…주요 은행장들 줄줄이 국감行?
올해 금융사고 발생한 이석용 NH농협·조병규 우리은행장 등 채택 가능성
전직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사태에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도 대상 거론
- 김현 기자
(서울=뉴스1) 김현 기자 = 내달 7일부터 시작되는 국회 국정감사를 앞두고 금융시장 관련 이슈들을 다룰 정무위원회 국감에 은행장 등 금융계 고위 인사들의 증인 채택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부당대출·횡령 및 배임 사건 등 거액의 금융사고들이 잇따라 터지면서 은행들의 '내부 통제'에 대한 비판론이 거센 만큼 고위 인사들에 대한 증인 채택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어서다.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회는 오는 7일부터 25일까지 올해 국정감사를 진행한다. 정무위는 올해 국감을 위해 오는 25일 국감 계획서 및 증인 채택을 시도할 예정이다.
그러나 기관 및 일반 증인 채택과 관련해 여야간 입장차가 있을 수 있는 만큼 오는 30일 전체회의에서 증인 채택이 마무리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정무위 소속 여야 간사는 각 의원실로부터 증인 신청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
집권여당인 국민의힘은 추석 전에 증인 신청에 대한 1차 마감을 한 뒤 추가 신청을 받고 있는 상태고, 야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일단 이날까지 증인 신청을 받겠다는 계획이다.
은행권과 관련해선 부당대출 등 잇따른 금융사고가 발생한 만큼 시중은행들의 '내부 통제'에 대한 의원들의 질타가 예상된다.
그런 만큼 NH농협은행과 우리은행 등 금융사고가 발생했던 주요 시중은행의 은행장 등 고위 인사들에 대한 증인 채택 가능성이 점쳐진다.
NH농협은행은 지난 3월 109억 원, 5월에도 2건에 64억 원 등 총 3차례에 걸쳐 173억 원 규모의 배임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지난 8월에는 121억 원 규모의 횡령 사고가 터진 바 있다.
우리은행 역시 지난 6월 100억 원대 횡령 사고가 발생한 데 이어 지난 2020년 4월부터 올해 1월까지 손태승 전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친인척에게 350억 원 규모 부당 대출을 내준 사건까지 적발됐다.
이석용 NH농협은행장, 조병규 우리은행장 등의 국감 증인채택 가능성이 높게 거론되는 이유다.
여기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현 경영진의 늦장보고 및 부실대응 등을 질책했던 우리은행의 전직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과 관련해서 임종룡 우리금융그룹 회장의 증인 채택 공산도 크다.
여당 정무위의 한 관계자는 "은행권의 횡령 및 배임, 부당대출 등 금융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는 만큼 경영진들을 국감 증인으로 채택해야 한다는 얘기가 많다"라고 전했다.
이 관계자는 "임 회장 증인 채택은 정무위 내에서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라고 했다.
다만, 일각에선 지난 2022년 주요 시중은행장들을 모두 국감에 증인으로 채택했지만, 오랜 시간 대기시키다 짧은 시간만 답변하게 했던 전례가 있었던 만큼 군기잡기나 망신주기식 증인 채택은 지양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야당의 한 정무위 관계자는 "증인·참고인이 너무 많을 경우, 증인 한 사람당 질문시간이 매우 적거나 없을 수도 있는 만큼 언론에서 지적하는 망신주기식 증인 채택보단 실질적인 국감이 될 수 있도록 인원을 제한할 필요가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주요 금융지주 회장들이 내달 21~26일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리는 국제통화기금(IMF)·세계은행(WB) 연차총회에 참석할 예정이어서 증인 채택에 변수가 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금융권에 따르면 양종희 KB금융지주 회장, 진옥동 신한금융지주 회장, 함영주 하나금융지주 회장, 이석준 NH농협금융지주 회장은 IMF·WB 연차총회에 참석할 것으로 전해졌다.
임종룡 회장의 경우 손 전 회장 친인척 부당대출 사건과 관련한 검찰 수사와 금감원 정기검사 등이 있는 만큼 연차총회에 불참할 가능성이 거론된다.
하지만, 연차총회 참석 계기에 글로벌 투자자와 주주를 대상으로 기업설명회(IR) 등이 이뤄지는 등 중요도를 고려하면 임 회장이 참여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한편, 여야는 정무위 국감 일정 및 대상을 놓고 줄다리기를 하고 있다.
당초 내달 10일 금융위원회·예금보험공사·산업은행·기업은행·서민금융진흥원을 시작으로 14일 캠코·한국주택금융공사·신용보증기금, 17일 금융감독원, 22일 금융위·금감원 종합감사 등의 일정으로 논의됐지만, 여당에서 금융위와 금감원 국감을 동시에 진행하자는 주장을 펴면서 일정 및 대상 협상을 원점에서 다시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여야에선 금융권 관련 국감이 오는 10일 금융위·금감원·산업은행·기업은행, 14일 예금보험공사·캠코,주금공·신보·서금원 등으로 조정될 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gayunlove@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