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순신 3부작 완성' 김한민 감독 "7년 전쟁, 8부작 드라마로 준비" [N인터뷰]②

'노량' 20일 개봉

김한민 감독/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서울=뉴스1) 정유진 기자 = 1700만명이라는 역대 최다 관객을 동원한 '명량'(2014)부터 코로나19 이후 찾아온 극장의 위기 속에서도 726만명 이상을 동원한 '한산: 용의 출현'(2022, 이하 '한산'), 그리고 트릴로지의 마지막 작품 '노량: 죽음의 바다'(이하 '노량')까지. 이순신을 주인공으로 한 세 편의 영화를 내놓은 김한민 감독은 "감개무량하다"며 소회를 밝혔다. 지금도 시간이 날 때마다 난중일기를 읽으며 힘을 얻고는 한다는 그는 지난 10년간 이순신 한 사람만을 파고 든 '이순신 덕후'였고 복잡하고 풀어야할 문제 투성이 촬영 현장을 지혜롭게 끌고 간 '현장의 이순신'이었다. 포기하고 싶었던 순간들을 뚫고 대미를 장식할 '노량'을 관객들에게 선보이게 된 김한민 감독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노량'은 임진왜란 발발 후 7년, 조선에서 퇴각하려는 왜군을 완벽하게 섬멸하기 위해 벌인 이순신 장군 최후의 전투를 그린 전쟁 액션 영화다. 배우 김윤석이 조선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 역을 맡았다. 이어 백윤식이 왜군 최고지휘관 시마즈, 정재영이 명나라 수군 도독 진린, 허준호가 명나라 수군 부도독 등자룡, 김성규가 항왜 군사 준사, 이규형이 고니시의 부장 아리마, 이무생이 왜군의 중심 고니시를 연기했다.

'노량'은 지난 20일 개봉 당일부터 박스 오피스 1위에 오르는 등 흥행 가도를 달리고 있다.

<【N인터뷰】①에 이어>*영화의 주요 내용을 포함한 스포일러가 있을 수 있습니다.

-백윤식을 시마즈 역에 캐스팅하게 된 계기도 궁금하다.

▶노량해전에서 치열하게 싸웠던 것은 시마즈 요시히로였다. 시마즈 요시히로라는 인물은 실제로 큐슈, 지금의 우리가 말하는 가고시마현에 있었다. 사스마항이라고 부르는 곳이 거기 있는데 그게 아이러니하게 메이지 유신을 일으키는 중요한 지역이 됐다. 그리고 일제강점기라는 비극적인 시대가 찾아오는 중요한 지역이 그 지역이다. 그 지역의 맹주고 다이묘였던 시마즈 요시히로가 전장의 중심에 있어서 주 적장으로 표현할 수 밖에 없었다. 백윤식이라는 배우를 보면 '백'이라는 말이 시마즈의 화이트한 느낌과 연계돼 있다. 시마즈 요시히로를 국내 배우가 하면 누가 할까 생각했는데 나는 백윤식이라고 생각했다. 백 선생님한테 캐스팅 제안을 할 때도 '이건 선생님이었습니다, 하시죠' 했고 '그래 그럼 오케이' 하셨다. 그래서 캐스팅이 됐다. 아귀와 평경장 이런 생각은 전혀 안 했는데(웃음) 그러고 보니 이렇게 됐다.

-이순신 장군이 북을 치다가 세상을 떠나는 것이나 극중 여러 번 등장하는 '대장별'에 대한 이야기 등은 실재했던 일들인지 궁금하더라.

▶대장별에 대한 얘기가 영화에서 두 번 정도 나오는데 실제 일화다. 진린이 어느 날 하늘에서 떨어지는 큰 별을 보고 '저거 당신을 상징하는 별인데 저 별이 떨어지면 안 된다, 당신이 죽게 되는데 제갈공명의 비법을 한 번 써보시죠'라고 편지를 썼다는 유명한 이야기가 있다. (제갈공명은 위나라 사마 중달과 전쟁 중 하늘에서 혜성이 나타나 자신을 상징하는 정승별을 침범하는 것을 보고 자신의 죽음을 예상했고, 전투에서 이기기 위해 생명을 연장해달라고 하늘에 기도를 올렸다는 일화가 있다.) 이순신 장군은 사람이 죽고 사는 건 하늘의 뜻인데 제갈공명의 비법을 쓴다고 한들 인간의 명을 어찌 거기에 맡긴다 말입니까 얘기한다. 그 별이 뭐였을까 보니 선조실록에 보면 초거대 초신성 폭발이 있었더라. 그런 사실도 있었기에 관객들이 알기 쉽게 북쪽의 대장별이라고 묘사했다.

'노량' 스틸 컷

-방씨 부인(이순신 장군의 아내) 이야기가 많이 편집이 된 것 같다.

▶방씨 부인 이야기를 아예 빼라는, 나를 아끼는 여러 관계자들과 스태프들의 충언을 받아들이지 않고 끝까지 고집했는데 그 이유는 단 한 가지였다. 이순신의 가족사는 '노량'에서 한번 꼭 나왔으면 좋겠다. 특히 방씨 부인 같은 경우는 아들 이면과 겹쳐 있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그런 지점에서 스쳐 지나가더라도 꼭 나오게 하고 싶었다. 방씨 부인이 이순신 장군에게 밥을 먹이는 장면은 배우들이 아쉬워했음에도 빼게 된 것이 그 장면이 전체 리듬을 해치기 때문이었다. 밥 먹는 부분이 좋긴 했다. 방씨 부인과 이순신의 관계가 보이기도 하고, 아들 이회가 부부를 바라보는 그런 시선도 존재했었다. 전체 맥락에서는 도움이 되지 않아서 과감하게 삭제했다.

-'한산: 용의 출현'은 '한산 리덕스'가 개봉했었다. '노량'은 감독판에 대한 생각이 있나.

▶낼 생각이 없다. 2시간32분이면 충분하다. 이렇게 존재하는 게 맞다. 영화를 만들면서 감독인 내게 어떤 지점을 제재하거나 변형하거나 하는 것들이 전혀 없었다. 이 자체가 감독판이다.

-10년간 이순신에 빠져있었는데, 감독 자신에게 어떤 것을 남겼나. 혹 그 과정에서 이순신 장군의 꿈을 꾼 적은 없나.

▶마지막 질문부터 대답을 하자면 이순신 장군 꿈은 전혀 꾸지 않았다. 지금까지도 꿈을 꾸지 않고 있다. 나는 긍정적이라고 생각한다. 이순신 장군이 보기에 영화가 별로 거슬림이 없어 보여서 대충 넘어가고 계시는 게 아닌가라는 생각을 한다.(웃음) 이순신 장군의 난중 일기는 수시로 마음이 착잡하고 무겁고 좀 멜랑콜리 할 때 자주 들여다 본다. 보면 이상하게 좀 용기하고 위로가 된다. 삶에 굉장히 큰 의미가 있다.

김한민 감독/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김한민 감독/롯데엔터테인먼트 제공

-영화 작업을 하면서 역사나 역사 속 영웅을 대하는 자세에 대해서도 다시 생각한 게 있을 것 같다.

▶우리가 역사적인 맥락을 좀 바라볼 필요가 있다. 하나의 예만 들자면 우리 근대사에서 1943년 카이로 선언 같은 경우는 그냥 그 선언에 조선을 조속히 독립시키자 이런 이야기가 그냥 들어있나 보다라고 하는데 그게 얼마나 큰 중대한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른다. 그게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도 모르고. 조금만 생각해 보면 당시에 몇 백 개의 식민지 국가가 있었는데 왜 하필 연합국 카이로 선언에 조선을 조속히 독립시킨다라는 말이 들어가 있을까 의아스럽지 않나. 그러한 맥락들 그리고 그런 맥락이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띠고 있는지 이런 것들이 사실 우리나라의 국가적인 정체성하고도 관계가 있는 부분이다. 우리가 이순신을 안다고 하면서도 그동안 간과했던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 그러한 지점에서 이순신이 차지하는 또는 이순신이 갖는 존재감이 매우 중요하다. 우리의 정체성이나 우리의 노선을 어떻게 둘지 몰라서 당황하는, 또는 그것 때문에 갈등하는 시대에 살고 있는데 그런 지점에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으신 분이 이순신이라는 생각이 든다. 이순신의 양심이 결국은 어떻게 보면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그대로 녹아 들어가 있다. 또 그러한 노력이 누군가를 설득해서 1943년에 카이로선언에 반영되게 됐고, 우리가 해방을 맞이하고 어떤 나라보다 일찍 독립할 수 있었다. 그런 것들이 매우 중요한 역사적인 지점들인데 그런 것들을 놓치는 게 사실은 안타깝다. 그런 부분들을 계속해서 우리가 되새기고 새롭게 의미들을 찾아가야 한다.

-'노량'은 또 다음을 기약하며 끝난다. '한산' 인터뷰 때 '7년 전쟁' 시리즈를 만든다고도 얘기했었는데 어떻게 되고 있나.

▶매우 구체적으로 진전되고 있다. 8부작 드라마로 나올 거 같은데 어떻게 보면 이순신 시리즈는 전쟁 액션, 대작으로 영화로 나온 것이고 3부작을 하다보니 임진왜란 7년사를 안 들여다 볼 수 없다. 7년간 정치외교사적 입장이 기민하게 돌아가고 재밌다. 오성과 한음에서 한음 이덕형을 중심으로 해서 정치외교사적 입장으로 드라마를 만들었으면 좋겠다. 일례를 들면 할지라는 문제가 명나라와 왜군들 사이에서 중대하게 오갔다. 그것에 개입하고 조선의 입장을 배제할 수 없도록 강하게 압박했던 게 남쪽에서 조선 주도적으로 무력을 행사하고 있었던 이순신이 있었기 때문이다. 그 때문에 강화협상이 그들의 입맛대로 돌아가지 않는 상황이 있었고 그래서 아는 게 필요하다. 이덕형이 어떻게 명나라 원군을 긁어서 명나라 정치적 상황에서 조선을 끌고 들어왔는가. 요즘 정치외교사적인 입장에서도 그런 외교 전술, 지혜는 굉장히 필요가 있다. 쿠키 영상은 그런 지점을 예시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된다.

-미국 개봉에 기대하는 바가 있나.

▶많은 미국 사람이 보면 좋겠다 생각한다. '명량' 때도 반응은 있었는데 최근에 드니 빌뇌브 감독과 만나서 회담했는데 그 사람은 캐나다 퀘벡 출신이더라. 드니 형은 얘기하다보니까 공통점이 많더라. 이야기 만드는 방식, 시작하는 방식도 비슷하고, 대담을 더 길게 하고 싶은데 주어진 시간이 짧았고 다음에 미국에 방문해 얘기를 나누려고 한다. 영화라는 언어가 통하더라. 이런 해전을 신기해 하고 재밌게 보더라.

-개봉 일이 12월20일이다. 이 시기에 개봉한 이유는.

▶배급사가 제 입장을 많이 배려해줬다. 노량해전이 벌어진 때쯤에 개봉하면 좋겠다 생각했다. 노량 11월19일이고 양력으로는 12월16일에 벌어졌는데 그 즈음을 찾다보니 12월20일이 배급시기가 됐다.

-트릴로지 중에 개인적으로는 어느 전쟁 부분을 가장 좋아하나.

▶호쾌하기로는 '한산'이다. 뭔가가 끌어오른다. '노량'에서는 너무 장엄하다. 모르겠다. 어떻게 판단해야할지.

eujenej@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