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국 "북한 미사일발사 금융시장 영향無"…핵실험이라면 '휘청'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7일 추경호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상황점검회의를 개최하고 지난 1일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 발사계획 발표와 관련,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과 대응방안을 논의했다.

당국에 따르면 북한이 발사계획을 발표한 이후 오히려 외국인은 국내 주식과 채권을 2조2000억원 순매수했으며 코스피지수도 17포인트 상승했다. 원·달러 환율도 거의 변동이 없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과거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할 때마다 금융시장이 겪어온 '학습효과'로 인해 영향이 제한적이고 일시적이라는 게 당국의 입장이다.

실제 과거 세차례에 걸쳐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했을 때에도 국내 주식시장은 소폭 하락하거나 오히려 반등했다.

1차 장거리 미사일 발사가 있던 지난 2006년 7월에는 발사가 미리 예견되어 당일 코스피지수가 소폭 하락(6포인트)에 그치고, 발사 이후 3거래일 만에 발사 이전 수준을 회복했다.

2차(2009.4.5)와 3차(2012.4.13) 때에는 오히려 주가가 상승했으며 금리도 안정적으로 유지됐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금감원 해외사무소과 주요 국제투자은행(IB) 등을 통해 파악한 국제금융시장 전문가들의 반응은 "이번 미사일 발사의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대체적으로 평가했다.

해외의 한국계 은행의 자금조달상황도 양호하다. 뉴욕소재 한국계 금융회사의 조달금리도 미사일 발사 발표 이전과 동일한 상황이며 오히려 자금이 필요하지 않느냐는 문의를 받은 경우도 있다는 게 당국의 설명이다.

런던에서도 현지 투자자들의 관련문의가 없는데다가 미국은 재정절벽 이슈에 당국과 업계의 관심이 쏠려있어 북한 미상일 이슈가 관심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해외 투자은행들도 북한의 미사일 발사 이슈가 별다른 화제가 되지 못한다는 입장이다. 한 메릴린치(BoA Merrill Lynch) 관계자는 "한국의 폭설로 공항이 마비되었다는 소식이 북한의 미사일 발사 예고 소식 보다 트레이더들에게 더 큰 이슈"라고 전했다.

한편 대북관련 이슈가 미사일이 아니라 핵관련 실험일 경우 상황은 달랐다. 북한이 첫번째 핵실험을 했던 지난 2006년 10월9일에는 코스피지수가 33포인트 하락했으며 회복에는 5거래일이 걸렸다.

2차 핵실험인 2009년 5월25일에는 핵실험 이후 3거래일동안 코스피가 42포인트 하락했으며 회복에는 6거래일이 필요했다.

천안함 침몰원인 발표와 연평도 포격, 김정일 사망 등 굵직한 이슈일 때도 주가가 크게 흔들렸다. 2010년 5월 천안함 침몰원인 발표 때에는 코스피가 2거래일동안 69포인트 떨어졌으며, 같은해 11월 연평도 포격 때에는 5거래일동안 48포인트 하락했다.

2011년 12월19일 김정일이 사망했을 때는 하루만에 코스피가 69포인트나 떨어졌다. 반면 1994년 7월 김일성이 사망했을 때는 7포인트 하락에 그쳤다.

당국도 북한이 미사일 발사에 성공하고 그 이후 추가 핵실험 등을 강행하거나 UN 안보리·주요국의 북한 제재언급 등 불확실성이 지속될 경우 단기적으로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설명했다.

이에 당국은 지난 3일부터 운영중인 금융위·금감원 금융통합상황실을 중심으로 금융시장 상황과 외국인 자금흐름 등을 모니터링하면서 금감원 해외사무소, 글로벌 IB 등과 기 구축된 핫라인을 가동해 해외 시각 및 자금동향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있다.

만약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을 발사하게 되면 금융위 부위원장 주재로 금융위·금감원 합동 비상금융상황대응회의가 열리게 된다. 회의에서 시장영향 및 상황 진행상황에 따라 비상대응계획이 확정·운영된다.

<figure class="image mb-30 m-auto text-center border-radius-10">

출처 : 금융위원회·금융감독원 © News1

</figure>

khc@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