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감찬 산업정책관 "韓 주도 'CFE' 공감대 확산…일본과 협력 잘돼"

[NFEF 2024]"출범 1년 밖에 안돼…짧은 시간에 인상적 성과"
이영석 기후변화정책관 "의욕적이지만 실천 가능한 목표 必"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가운데)이 13일 오전 서울 용산구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 호텔 플로리스홀에서 열린 '뉴스1 미래에너지포럼(NFEF) 2024'에서 'CFE(무탄소에너지)로 에너지강국 도약! 과제는?'이라는 주제로 토론을 하고 있다. 2024.11.13/뉴스1 ⓒ News1 김진환 기자

(서울=뉴스1) 손승환 기자 = 강감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관은 우리 정부 주도로 추진 중인 'CFE(무탄소에너지) 이니셔티브'에 대해 "굉장히 많은 나라들이 무탄소에너지에 대해 이해하고 이를 적극 지지한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강 정책관은 13일 오전 서울 나인트리 프리미어 로카우스호텔 용산에서 열린 '뉴스1 미래에너지포럼(NFEF) 2024' 토론 세션에서 "CFE 이니셔티브가 나온 지 이제 1년밖에 안 됐음에도 불구하고 공감대를 가지면서 굉장히 확산하고 있다며"며 이같이 밝혔다.

CFE는 재생에너지에 원자력과 수소를 더한 개념으로, 정부는 지난 28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8)부터 CFE 이니셔티브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일본과 아랍에미리트(UAE), 체코 등이 CFE 이니셔티브 참여에 적극적이라는 게 정부 측의 설명이다.

강 정책관은 토론 좌장을 맡은 유승훈 서울과기대 교수가 CFE의 전망에 관해 묻자 "철학에 대해선 다들 공감하고 있다"며 "현실적으로 재생에너지를 가질 수 없는 개도국들이 어떤 형태로든 온실가스를 감축하려고 한다면, 재생에너지가 아닌 다른 감축 수단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1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이 정도 성과면 개인적으로 인상적이란 생각이 든다"며 "글로벌 작업반 등을 중심으로 CFE 이니셔티브가 여러 형태로 좀 더 발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CFE 이니셔티브는 지난달 3일 글로벌 작업반을 발족하면서 공식 출범 절차를 마친 바 있다. 작업반에는 한국·일본·아랍에미리트(UAE)·체코와 국제에너지기구(IEA)가 이름을 올렸다.

강 정책관은 CFE 이니셔티브의 공동 의장국인 일본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선 "한국과 일본은 여러 에너지 믹스에서 많은 유사점을 갖고 있다"며 "특히 수소 부분에 있어 굉장히 고민이 비슷해서 '함께 협력하자'는 이야기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고 전했다.

또 "탄소 감축 관련해서도 일본과 굉장히 많은 실무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에 대한 협력이 이뤄지고 논의도 많이 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에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 재집권에 따른 기후 정책 변화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이영석 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우리 정부의 기후 정책에 미칠 영향과 관련해 "의욕적이지만 실천 가능한, 그리고 사회적 합의가 되는 목적을 추진해야 한다는 원칙에는 변함이 없다"면서도 "우리 여건을 얼마나 냉철하게 바라보고 있느냐가 중요하다"고 진단했다.

이 정책관은 "최근 수년간 나름 어디다 내놓을 수 있는 성과를 거뒀다고 말씀드릴 수 있지만, 40% 감축 목표 속 불확정한 분야가 크게 두 가지"라며 "하나는 국제 감축 분야고 다른 하나는 CCUS(탄소 포집·저장·활용)다"라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국제사회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수립할 때 '탑 다운' 방식과 '바텀 업' 방식을 함께 쓰는데 여러 이유로 두 가지 간의 갭(차이)이 늘 매우 크다"며 "아직 사회적으로 (이들 간) 상호 대화하려는 시도가 매우 약하다"고 토로했다.

다만 "둘 다 똑같은 숙제를 가진 상황이고, 숙제를 하는 과정에서 미세한 차이가 있을 뿐이기 때문에 접점이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탄소 감축을 위한 미래 먹거리 개발 방안도 나왔다.

조혜윤 농림축산식품부 농촌탄소중립정책과장은 "농업 분야 NDC 달성을 위해선 축산 분야의 노력이 가장 필요한 상황"이라며 "육류 소비를 대체할 수 있는 방안으로 푸드테크 전략 측면에서 대체육이나 대체 식품 개발 등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이어 "(다만) 고기에 대한 수요가 식물성 고기로 단번에 옮겨가는 행동 변화가 쉬울 것이라고 예측하진 않는다"며 "축산 농가의 생산 방식에 변화를 유도하기 위해 저단백·저메탄 사료 전환, 관행적인 농업 방식 변화 노력과 함께 정부 재정 및 교육 제도를 지원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s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