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금 없는 매장' 우후죽순…소외된 고령층, 후생 감소 집중

디지털 이해도 낮으면 현금없는사회 적응 크게 뒤져
"현금 수용 독려하며 새 결제수단에 배려 적용해야"

서울 시내의 한 스타벅스 매장에서 직원이 고객에게 신용카드, 모바일페이 등 현금이 아닌 다른 결제수단 이용을 권유하고 있다. (자료사진)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최근 우후죽순 생겨나고 있는 '현금 없는 매장' 틈바구니에서 디지털 이해도 낮은 고령층 등의 소외가 심각해질 것이라는 경고가 나왔다.

이에 현금 결제 수용성을 높이는 단기 정책과 더불어 새로운 지급·결제수단 도입 시 디지털 소외 계층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게 배려하는 중장기 정책이 병행돼야 한다고 한국은행은 제언했다.

한은이 31일 공개한 '코로나19 팬데믹 기간중 디지털 이해도와 현금수요 간의 관계' 제하의 BOK경제연구 보고서를 보면 이 같은 이경태 한은 금융통화연구실 부연구위원 등의 조언이 담겼다.

최근 금융·경제의 디지털화가 코로나19 확산 계기로 빨라지면서 디지털 격차(Digital divide)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이에 연구진은 디지털 이해도 낮은 소비자들도 변화된 지급결제 환경에 잘 적응하는지 회귀 분석을 통해 살폈다.

분석 결과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소비자는 코로나19처럼 비대면 결제 방식이 외생적으로 강제되는 상황에서도 현금을 계속 이용하려는 성향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코로나19 기간 디지털 이해도 낮은 소비자가 휴대 현금을 줄일 확률은 평균 16%에 불과했으며, 이들이 모바일금융서비스 이용을 늘릴 확률은 32%에 그쳤다. 이는 디지털 이해도가 높은 소비자(각각 26%, 46%)에 비해 크게 뒤떨어진 적응 수준이다.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도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서비스 등장으로 디지털 이해도가 낮을수록 소비자 후생 감소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다른 연령층에 비해 현금 의존도가 높고 디지털 이해도가 낮은 고령층의 후생 감소가 크게 나타났다.

이에 보고서는 "현금 결제를 받지 않는 상점·서비스 증가로 인한 불편이 디지털 소외층에게 집중될 가능성이 높다"면서 "단기적으로는 현금결제 수용성을 높이는 정책방안을 마련하는 동시에, 중장기적으로는 새로운 지급결제수단 도입 시 디지털 소외계층도 손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정책 고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