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물가 상승률 2%, 41개월래 최저…"농산물·유가 안정"(종합2보)

농산물·석유류 제외 '근원물가' 1.9%…3년만에 최저
"주요국 대비 빨리 안정, 흐름 이어질 것"

서울 시내 한 전통시장에서 고객들이 장을 보고 있다. ⓒ News1 김성진 기자

(세종=뉴스1) 손승환 전민 기자 = 8월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2.0% 오르며 3년 5개월 만에 최저 상승률을 기록했다.

정부는 주요국 대비 빠른 물가 둔화세라며, 기상이변이나 국제유가 불안 같은 추가 충격이 없다면 2% 초반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5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이는 2021년 3월(1.9%) 이후 4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0월 3.8%로 정점에 이른 후 올해 1월 2.8%까지 둔화했다. 이후 2월과 3월 3%대로 재반등했으나, 4월부터 5개월 연속 2%대의 흐름을 유지하고 있다.

품목 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이 전년 동월 대비 2.4% 올랐다. 배(120.3%), 사과(17.0%) 등의 상승세는 여전했으나, 해산물과 채소류 중심으로 가격이 안정되면서 전반적인 상승 폭(5.5%→2.4%)은 한풀 꺾인 모양새다.

공업제품도 1.4% 오르는 데 그쳤다. 수입승용차(5.1%), 자동차용LPG(16.8%) 등이 상승한 반면, 경유(-1.9%), 휘발유(-0.7%) 등은 지난해 대비 하락했다.

공업제품 중 석유류 물가 상승률은 0.1%에 그쳐 7월(8.4%) 대비 상승 폭이 크게 축소됐다. 올해 2월(-1.5%) 이후 6개월 만에 최저치이기도 하다.

공미숙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유가와 농산물 상승 폭의 영향이 이달 물가 상승률의 하락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다"며 "유가의 경우 국제유가 영향이 컸고, 지난해 기저효과가 있어서 많이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전기·가스·수도는 도시가스와 지역난방비가 각각 6.9%, 9.8%씩 오르면서 전년 동월 대비 3.3% 상승했다.

서비스 물가는 지난해 대비 2.3% 상승했다. 공공서비스가 1.4% 오르고, 개인서비스도 3.0% 상승한 여파다.

세부적으로 보면 보험서비스료(15.1%), 공동주택관리비(5.1%), 외래진료비(2.0%) 등이 올랐으나, 가전제품렌탈비(-6.9%), 자동차보험료(-2.7%), 유치원납입금(-5.5%) 등은 하락했다.

공 심의관은 "지난달 공동주택관리비 인상이 있었는데, 이것이 지난달 서비스 물가에 반영됐다"고 말했다.

통계청이 3일 발표한 '8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14.54(2020=100)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 이는 2021년 3월(1.9%) 이후 41개월 만에 가장 낮은 상승 폭이다. ⓒ News1 김지영 디자이너

식료품과 에너지 등 가격 변동성이 큰 품목을 제외해 물가의 기조적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지수는 111.40(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직전 달(2.2%) 대비 0.1%p 하락한 수준이다.

다른 근원물가 지수인 농산물·석유류 제외지수는 112.75로 1.9% 올라 전월 대비 상승 폭이 0.2%p 하락했다. 2021년 8월(1.9%) 이후 3년 만에 최저치이기도 하다.

자주 구매하는 144개 품목 위주로 구성돼 체감물가를 나타내는 생활물가지수는 116.96(2020=100)으로 전년 동월 대비 1.1% 올랐다. 생활물가 상승률은 전월 대비 0.9%p 하락했다.

신선어개(생선·해산물), 신선채소, 신선과실 등 계절 및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변동이 큰 55개 품목으로 작성된 신선식품지수는 131.29(2020=100)로 전년 동월보다 3.2% 상승했다. 전월보다는 상승 폭이 4.5%p 줄었다.

그중 신선과실은 전년 동월 대비 9.6% 올랐으나 상승 폭이 전월보다 11.7%p 줄었다.

신선채소와 신선어개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7%, 0.1% 하락했다.

공 심의관은 8월 소비자물가 총평에서 "전기·가스·수도 및 외식 제외 서비스의 상승 폭이 확대됐으나 석유류, 농산물 상승 폭이 축소돼 전체 2.0% 올랐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물가 상승 폭이 둔화한 것과 관련해 "정부 노력과 기업 동참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며 "주요국과 비교해 굉장히 빠르게 안정됐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추가 충격이 없다면 2% 초반 물가 흐름이 이어질 것"이라며 "추석 물가 안정을 위해 20대 성수품 물량을 역대 최대로 공급하는 등 총력 대응하겠다"고 말했다.

(통계청 제공)

ssh@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