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오른다" vs "내린다" 온도차 클수록 금리인하 '무소용'

한은 BOK경제연구 보고서
기대인플레 불일치 정도 커지면 통화정책 효과↓

(자료사진)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향후 물가 상승 기대치를 뜻하는 기대인플레이션이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서 일치되지 않을수록 통화정책이 기대한 효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한국은행 내부에서 나왔다.

한은이 22일 펴낸 '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와 통화정책 파급효과' 제하의 BOK경제연구 보고서에는 한은 경제연구원 소속 곽보름·심세리와 피터 틸먼 독일 기센대 교수의 이 같은 연구 결과가 실렸다.

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inflation disagreement)란 시장 참가자들(전문가) 사이에서 관측되는 기대인플레이션 관련 온도 차를 가리킨다. 연구진은 이를 기대인플레이션 전망에 대한 산포도(표준편차)로 정의하고 2006년 1월~2023년 11월 국내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를 측정했다.

보고서는 "분석 결과 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 수준이 높은 상태에서는 통화정책 효과가 약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론 전문가들이 향후 물가 흐름 전망에 대해 통일된 의견을 갖추지 못할수록(기대인플레이션 불일치 높음) 긴축 통화정책 충격은 물가 상승률을 유의미하게 낮추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이밖에 성장률 전망치 등 실물 지표도 단기적으로 이론과 반대되는 움직임을 보였다.

2006~2023 기대인플레 불일치 정도 (한은 제공)

반면 전문가들이 앞으로의 물가 기대치에 대해 대체로 통일된 견해를 가진 상태에서는 긴축 통화정책 충격이 물가 상승률을 낮추고 실물 경기를 둔화시키는 전통적인 결과가 나타났다.

보고서는 "이는 선행연구와 일치하는 결과"라면서 "향후 물가 흐름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질 경우 전통 파급경로를 통한 통화정책 효과가 상쇄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해석했다.

특히 물가 불확실성이 높을수록 "통화정책의 효과가 이와 반대되는 방향으로 작동하는 신호 경로(signalling channel)에 의해 상쇄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신호 경로란 민간 경제 주체들이 중앙은행의 정책금리 인상을 향후 경제가 탄탄할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이는 경우 기대인플레이션과 실제 물가 상승률이 오히려 상승하게 되는 효과를 뜻한다.

이에 곽보름 과장은 "통화정책 유효성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기대인플레이션의 수준뿐만 아니라 경제주체 간 불일치 정도도 낮출 필요가 있다"며 "시장참가자와의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기대인플레이션의 불일치 정도를 낮출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