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피격'에 환율 1400원 턱밑…더 멀어진 8월 금리인하
트럼프 당선 땐 '제한적 금리인하' 예상…당분간 강달러 기류
日엔화 외 아시아 통화 약세 우려…금리 인하 지연 명분 늘어
- 김혜지 기자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연설 중 총격을 받은 사건으로 글로벌 안전자산 선호도가 높아지고 원·달러 환율이 1400원 턱밑까지 올랐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다시 집권하는 경우 향후 미국의 정책금리 인하는 제한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은행이 향후 기준금리 인하에 신중을 기할 이유가 더 늘어났다는 분석이 나온다.
17일 서울 외환시장에 따르면 전날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2.1원 오른 1384.9원에 거래를 마쳤다. 지난 2일(1390.6원) 이후 2주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최근의 환율 상승은 트럼프 전 대통령이 지난 13일 연설 중 총격에 부상을 입은 사건으로 당선 가능성이 높게 평가되면서 나타났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감세와 함께 재정 지출을 늘려 미국 내 경기를 강하게 하는 정책 조합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그만큼 시장은 미 금리 상승, 달러 강세에 베팅 중이다.
박민영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피격 사건 이후 트럼프 수혜주에 베팅하는 '트럼프 당선 트레이드'가 재차 부상하면서 시장금리 상방 우려를 키우고 있다"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정책 조합은 재정 건전성 약화, 무역 관세 상향발(發) 인플레이션 재발 가능성으로 연결된다"고 분석했다.
이어 "단기적으로는 기간 프리미엄 중심의 시장금리 상승이 예상되며, 중장기적으로는 인플레이션 재발과 강한 미국 내 경기로 인해 향후 미 연방준비제도(연준·Fed)의 정책금리 인하 폭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글로벌 시장 내 강달러 분위기는 원화 가치 약세를 부추기는 재료다. 또 단기적인 정정 불안 우려로 인해 외환시장 내 불확실성과 변동성 증대가 예상된다.
이들 모두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를 부담스럽게 하는 요인이다.
최호상 국제금융센터 뉴욕사무소장은 "이번 사건으로 미 장기국채 금리의 변동성이 커질 수 있고 달러 강세로 인해 안전자산인 엔화를 제외한 아시아 지역 통화의 상대적인 약세가 우려된다"고 말했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트럼프 재집권 시 미 경제는 주요국 대비 양호한 성장세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고, 이에 한은은 금리 인하 초기 미 연준 대비 보수적인 스탠스를 고수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조 연구원은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임기가 만료되는 2026년 2월까지 기존의 제한적인 금리 인하 기조를 이어갈 전망"이라며 "연준 정책금리는 친트럼프 성향의 후임 지명 이후 중립금리(2.75~3.00% 추정) 수준까지 회귀할 수 있다"고 밝혔다.
한은은 하반기 이번 통화 긴축 사이클 최초의 기준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당초 시장에서는 한은의 조기 기준금리 인하(8월)를 예상했으나 지난 11일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이후에는 10~11월 인하를 예상하는 기류가 강해졌다.
이달 금통위 직후 이창용 한은 총재는 앞으로 금리 인하 시점을 결정하는 데 있어 신중한 태도를 강조했다. 당시 이 총재는 "당면한 물가, 금융 안정 상황을 고려할 때 현 시장의 금리 인하 기대는 다소 과도한 면이 있다"고 전했다.
환율 변동성 확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가 조기에 이뤄질 가능성은 더욱 낮아질 수밖에 없다. 지금도 한미 정책금리는 역대 최대인 2%포인트(p) 격차로 역전돼 있다. 해당 금리차가 벌어지면 환율 상방 압력은 더 강해진다.
환율 상승은 수입물가 상승으로 이어져, 국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높이는 물가 상방 압력으로 작용하게 된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 트럼프 재집권 가능성에 따른 시장 반응이 일시적일 수 있다고도 분석한다.
조용구 연구원은 "시장의 강달러 내러티브가 초기엔 일부 유효할 수 있으나 장기화하거나 추세적이진 않을 것"이라며 "과거 집권 당시보다 펀더멘털 요인의 방향성을 바꿀 정도로 영향을 미치기는 어려운 데다, 정책의 현실화 과정에서 과도한 공약은 일정 수준 후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애당초 한은이 이달 내세운 신중론이 금리 인하 시점을 지연하려는 목적보다는 '전략적 모호성'을 위해서라는 평가도 제기된다.
문홍철 DB금융투자 연구원은 "7월 금통위 이후 한은 금리인하가 늦춰졌다는 해석이 있지만 2명의 금통위원이 3개월 내 인하 여지를 남겨뒀다는 점 등을 고려해야 한다"며 "이는 '깜빡이'가 아닌 '깜깜이' 전략이고, 금리 인하 시점을 향후 유연하게 가져가려는 포석"이라고 지적했다.
icef08@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