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DI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내수 회복은 아직…경기 개선세 다소 미약"

"고금리 기조 지속하면서 내수 회복세 보이지 못해"
"중동 지정학적 불안과 국제유가·통화정책 불확실성 상존"

1일 부산항 신선대부두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다. 2024.7.1/뉴스1 ⓒ News1 윤일지 기자

(세종=뉴스1) 김유승 기자 = 최근 우리 경제가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가 가시화되지 못하면서 경기 개선세가 다소 미약한 모습이라는 한국개발연구원(KDI)의 진단이 나왔다.

KDI는 8일 발표한 '7월 경제동향'을 통해 "수출은 ICT(정보통신기술) 품목을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지속하고 있으나 고금리 기조가 지속되면서 내수는 회복세를 보이지 못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5월 전(全)산업 생산은 전년 동월 대비 2.2% 증가했는데, 연초 높았던 증가세가 다소 조정되는 모습이었다.

광공업 생산(3.5%)은 반도체(18.1%)의 높은 증가세에도 자동차(-1.9%)와 전기장비(-18.0%)의 감소세가 확대되면서 증가 폭이 축소했다.

서비스업 생산(2.3%)도 도소매업(-1.4%), 숙박 및 음식점업(-0.9%) 등의 부진이 지속되면서 증가세가 둔화되는 흐름을 보였고, 건설업 생산(-3.8%)은 비교적 큰 폭으로 감소했다.

반도체 웨이퍼 모습.ⓒ News1 장수영 기자

소비는 일부 서비스업을 제외한 대다수 부문에서 부진이 지속됐다.

상품 소비를 나타내는 5월 소매판매(-2.2%→-3.1%)는 승용차(-7.5%→-9.2%)와 의복(-5.3%→-6.8%), 음식료품(-3.3%→-3.6%)을 중심으로 감소세가 확대됐으며, 계절조정 전월 대비(-0.8%→-0.2%)로도 감소세가 이어졌다.

서비스 소비와 밀접한 도소매업(-1.4%)과 숙박 및 음식점업(-0.9%) 생산이 감소세를 지속하며 소비 부진을 시사했다.

반면, 국내 소비와 달리 해외 소비는 활발한 모습이었다. 국민 출국자 수가 34.8% 증가하고, 대외 여행지급(원화금액 기준)도 7.8%의 높은 증가세를 보였다.

5월 설비투자(-2.2%→-5.1%)도 감소 폭이 확대했다. 기계류(-4.2%→-4.7%)의 감소 폭이 다소 확대된 가운데, 변동성이 높은 기타운송장비(23.3%→-3.5%)를 중심으로 운송장비(3.7%→-6.3%)도 감소로 전환했다.

특히 반도체 경기 호조세가 관련 투자로 이어지지 못하며 설비투자 부진이 지속되고 있었다.

반도체와 밀접한 특수산업용기계(-12.1%→-10.5%)가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했고, 선행지표인 특수산업용기계수주(13.0%→-9.5%)와 6월 반도체제조용장비 수입액(-27.9%→-24.1%)도 부진했다.

7일 오전 서울의 한 대형마트를 찾은 시민이 채소류를 구매하고 있다. 2024.7.7/뉴스1 ⓒ News1 장수영 기자

5월 건설투자를 나타내는 건설기성(불변)은 건축부문의 부진에 주로 기인해 전월(-0.1%)보다 낮은 -3.8%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KDI는 "높은 건설비용 등으로 선행지표의 부진이 지속됨에 따라 단시일 안에 건설투자가 회복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수출은 IT 품목의 높은 증가세에 힘입어 양호한 회복세를 지속하고 있었다. 6월 수출은 조업일수 감소(+0.5일→-1.5일)로 전월(11.5%)보다 증가 폭이 축소된 5.1%를 기록했으나, 일평균 기준으로는 전월(9.0%)보다 높은 12.4%를 나타냈다.

반면, 주요 에너지원 수입(3.4%→3.4%)이 낮은 증가세에 머무른 가운데, 이를 제외한 수입(-3.7%→-10.6%)도 내수 부진의 영향으로 위축됨에 따라 전체 수입(-2.0%→-7.5%)의 감소 폭이 확대됐다.

수출 회복세가 이어지고 수입 감소 폭이 확대되면서 무역수지(48억 6000만 달러→80억 달러) 흑자 폭은 커졌다.

인천국제공항 2터미널 면세점 전경.ⓒ News1 박세연 기자

5월 취업자 수는 전월(+26만 1000명)의 높았던 전년 대비 증가 폭이 8만 명으로 줄었다. KDI는 고용 상황에 대해 "서비스업의 둔화 흐름이 이어진 가운데, 건설업도 위축되며 고용 증가세가 완만하게 조정되는 모습"이라고 평가했다.

6월 소비자물가는 상품(3.2%→2.7%)의 가격 상승세가 크게 둔화되며 전월(2.7%)보다 낮은 2.4%의 상승률을 기록했다.

고금리 지속에 따른 내수 부진으로 근원물가 상승세(2.2%)가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했으며, 농산물, 석유류 등을 제외한 대다수의 품목에서 고물가 현상이 완화됐다.

KDI는 대외 여건과 관련해선 "세계경제는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중동의 지정학적 불안에 따른 국제유가 상승과 통화정책 불확실성 등의 위험요인도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kys@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