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이 달라도 씀씀이 비슷해져"…4년 새 韓 소비격차 축소

소득 최상위 5분위 가계소비 1분위의 2.5→2.1배
5분위 의류·신발에 여가 소비 줄여…1분위는 증가

(자료사진)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우리 가계의 소득 격차만 아니라 '소비 격차'도 축소됐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관심을 모은다. 코로나19 확산 전후 저소득 가계의 의류·여가 등 비필수재 소비가 증가한 반면 고소득 가계는 감소한 결과다.

8일 한국은행의 '가계분배계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22년 소득 최상위 계층인 5분위의 전체 가계소비 대비 소비 점유율은 29.5%로, 소득 최하위층인 1분위(13.8%)의 2.1배로 계산됐다.

이 비율은 코로나19 확산 이전인 2018년에는 2.5배(1분위 12.5% 대 5분위 31.5%)로 나타났다. 4년 새 소비 격차가 줄어든 셈이다.

이 같은 추세에 대해 한은은 "소득분위 간 소비 격차의 축소는 코로나 유행이 시작된 2020년부터 5분위 가계의 비필수재에 대한 소비가 상대적으로 크게 감소한 것에 기인한다"며 "다만 코로나19가 종식된 2023년부터 5분위 가계의 비필수재 소비가 늘게 되면 소득분위 간 소비 격차가 다시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추세 해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1분위 가계의 의류·신발 소비가 2018년 6조 2098억 원에서 2022년 7조 1289억 원으로 1296억 원 늘어나는 동안 5분위의 소비는 같은 기간 20조 2871억 원에서 18조 9001억 원으로 1조 3870억 원 줄어들었다.

여가비를 대표하는 오락·스포츠·문화 소비의 경우 1분위는 4년 만에 7조 3056억 원에서 9조 496억 원으로 1조 7440억 원 증가했다. 5분위는 37조 8214억 원에서 35조 5272억 원으로 2조 2942억 원 감소했다.

국민지원금 등 코로나 기간의 복지 증대도 영향이 있어 보인다.

복지 증대에 따른 저소득층의 소득 개선이 비필수재 소비를 늘려 소득 격차와 함께 소바 격차 또한 축소시켰다는 분석이다.

한은은 "2018~2022년 총본원소득(GNI)과 총처분가능소득(GNDI)의 가계 소득 분위별 소득 점유율 변화를 살핀 결과 이전소득은 가계 소득분위간 소득 격차를 축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1~2분위 가계는 정부로부터 기초연금 등 사회수혜금을 수취하면서 총처분가능소득 점유율이 상승한 반면 5분위는 소득세 등 경상세 납부 등으로 하락했다"고 부연했다.

지난 2020~2022년 1분위 가구의 소득 점유율은 5.5%, 5.6%, 6.8%로 점차 커졌다. 같은 기간 5분위 점유율 45.0%, 45.1%, 42.8%는 소폭 올랐다 낮아졌다.

한은이 가계의 소득 분위별 소득·소비·저축 통계인 가계분배계정을 발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은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이드라인에 따른 조사 결과"라며 "매해 6월 공개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