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사과 주산지'로 육성한다…2030년까지 2000ha 규모 목표

기후변화 대응 목적, 계약재배 물량도 확대
거점 APC 조성 추진, 묘목도 다축형으로 전환

서울 시내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사과를 구매하고 있다. 2024.3.25/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세종=뉴스1) 임용우 기자 = 정부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강원도 사과 재배면적을 큰 폭으로 늘린다. 병해충 등으로 인한 사과 생산량 감소를 막기 위해 묘목도 기존 원뿔형에서 다축형으로 전환한다.

27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정부는 사과 생산량 증대, 사과 주요재배 지역 육성 등의 내용이 담긴 '중장기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대책'을 내주 중 발표한다.

정부가 강원지역을 사과 주산지로 육성하려는 이유는 지난해 폭염, 폭우 등의 영향으로 국내 생산량이 30%나 급감했기 때문이다. 전국 사과 재배 면적에서 강원은 5%가량을 차지하는데, 이를 2030년까지 10% 이상으로 끌어올리겠다는 계획이다.

강원지역은 기후 조건이 좋기 때문에 나무 한 그루당 수확량도 다른 지역보다 많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정부는 강원 정선·양구·홍천·영월·평창 등 5대 산지의 사과 재배 면적(930ha)을 2030년까지 2000ha 이상으로 확대한다.

강원지역은 늦은 봄까지 날씨가 서늘하고 일교차도 크다는 기후적 특성으로 인해 최근 기후변화로 불거진 문제들을 상당 부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농식품부는 보고 있다.

지난해 초봄 날씨가 지나치게 따뜻한 탓에 사과나무에 꽃이 일찍 폈다가 꽃샘추위로 꽃이 떨어지며 생산량이 급감했는데, 이런 피해가 강원지역에서는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얘기다.

더욱이 기후변화가 현재 속도로 이어진다면 2090년에는 강원지역만 사과를 재배하기에 적합한 기후대로 남을 것으로 예상된다.

또 도내에 거점 APC(산지유통센터) 등 유통 인프라를 조성하는 방안 등이 거론된다.

강원지역에서 생산된 사과는 대부분 경북 안동의 공판장으로 옮겨져 판매되는데, 이를 도내에서 직접 판매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특히 정부는 줄기(기둥)가 여러 개인 다축형 사과나무를 집중 보급할 방침으로 전해졌다. 다축형 사과나무는 줄기가 하나뿐인 원뿔형에 비해 생산성이 2~4배가량 높고, 병해충에 강하다는 장점이 있다.

기둥이 여러 개인 만큼 수확할 때 기계를 쓰기도 편리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한편 정부는 계약 재배 물량을 지난해(4만9000톤) 대비 두 배 이상 늘리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phlox@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