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구 자산 평균 5억2727만원…고금리·집값 하락에 역대 첫 감소

1년 전보다 2045만원 줄어…통계 작성 11년 만에 뒷걸음
순자산 -4.5%, 4억3540만원…이자비용 18%↑ '역대 최대'

(자료사진) /뉴스1

(서울=뉴스1) 김혜지 기자 = 우리나라 가구 자산이 해당 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래로 역대 처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물자산, 그 중에서도 부동산의 감소세가 컸다. 지난해 집값 하락이 국민들의 재무 상황에 직격탄을 날린 셈이다.

고금리로 인해 집안 살림도 어려워졌다. 이자비용이 18% 넘게 늘어 역대 최대 증가율을 기록했다.

7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공동 수행한 '2023년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를 보면 올해 3월 말 기준 가구 평균 자산은 1년 전보다 2045만원(-3.7%) 감소한 5억2727만원으로 나타났다.

가구 평균 자산이 뒷걸음친 것은 가계금융복지조사를 시작한 2012년 이후 11년 만에 처음이다. 통계 사상 최초 감소인 셈이다.

자산 감소의 주된 원인은 집값 하락이었다. 올해 가구 금융자산은 3.8% 증가, 실물자산은 5.9% 감소했는데 이 중 실물자산의 감소는 부동산 중 거주주택(-10.0%) 감소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박은영 통계청 복지통계과장은 "가계금융복지조사는 2012년부터 시작됐는데 그 이후 처음으로 자산의 감소가 나타났다"며 "실물자산 중 부동산이 전체적으로 하락하면서 그 영향이 가장 많이 작용했다"고 말했다.

(통계청 제공)

가구 부채는 9186만원으로 전년보다 17만원(0.2%) 소폭 증가에 그쳤다. 이는 금융부채(6694만원) 1.6% 감소, 임대보증금(2492만원) 5.3% 증가에 따른 결과다.

고금리 여파로 올해 3월까지 부채 증가세가 주춤했던 상황으로 풀이된다.

박 과장은 "가구 부채가 2012년 통계 작성 이후 가장 낮은 증가율을 나타냈다"며 "지난해 하반기 이후 고금리와 부동산 경기 침체 등의 영향"이라고 설명했다.

이로써 자산에서 부채를 뺀 가구 순자산은 1년 전보다 2062만원(-4.5%) 줄어든 4억3540만원을 기록했다.

박 과장은 "순자산 증감률도 역대 가장 낮았다"면서 "자산의 감소 폭이 워낙 크다 보니 생겨난 결과"라고 말했다.

가구 평균 소득은 6762만원,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을 뺀 처분가능소득은 5482만원으로 나타났다. 각각 전년비 4.5%, 3.7% 증가했다.

소득 증가는 대부분 근로소득 때문이었다.

원천별로 보면 근로소득이 4390만원으로 전년 대비 가장 큰 6.4%의 증가율을 기록했다. 사업소득은 1206만원으로 4.0% 늘었으며 재산소득도 436만원으로 2.5% 증가했다.

반면 공적이전소득은 625만원으로 4.8% 감소했다.

가구 소득 분포는 1000만~3000만원 미만이 21.6%로 가장 많았다. 1000만원 미만은 5.2%, 1억원 이상 가구는 20.0%를 차지했다.

(통계청 제공)

가구의 비소비지출은 1280만원으로 8.1% 늘어났다. 세부항목별로 보면 공적연금·사회보험이 433만원, 세금이 416만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8.2%, 4.1% 증가했다.

특히 '이자비용'이 247만원으로 18.3% 급증했다. 이는 통계 집계 이후 가장 큰 증가율이다.

이에 따라 이자비용이 전체 비소비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3%으로, 전년에 비해 1.7%포인트(p) 크게 늘었다. 나머지 공적연금·사회보험료는 33.8%, 세금은 32.5%로 비중이 같거나 오히려 축소됐다.

가계의 원리금 상환액은 평균 100만원 늘어난 1259만원으로 집계됐다.

이에 원리금 상환이 생계에 주는 부담에 대해 금융부채 보유가구의 67.6%가 '부담스럽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년(64.4%)에 비해 3.2%p 뛴 수치다.

정부는 이번 조사 결과와 관련해 해석에 주의를 당부했다.

김귀범 기획재정부 자금시장과장은 "가구 순자산 감소는 조사 당시인 3월과 현재 사이에 시차가 있어 지금 느끼는 가게 금융 상황과는 (다를 수 있다)"며 "해석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는 "자산 순자산 감소는 부동산 시장 정상화에 따른 현상으로, 과거 2년에는 부동산 가격이 오르면서 실물자산이 크게 증가했고 올해는 감소한 측면이 있다"며 "오히려 가계의 상환 능력은 일부 개선돼 저축액 대비 금융부채 비율이 전년비 하락했다"고 해석했다.

icef08@news1.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