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 내년 韓 성장률 2.3% 전망…수출·내수 회복 기대에 0.2%p 상향

올해 성장 전망은 0.1%p 낮춰1.4% 제시…"물가, 올해 3.6%, 내년 2.7%"
세계 성장 전망은 2.7% 유지…"고령화 겪는 韓 재정준칙 제고 긴요"

서울 시내의 한 대형마트에서 시민들이 장을 보고 있다. 2023.11.29/뉴스1 ⓒ News1 김민지 기자

(서울=뉴스1) 김유승 기자 = 수출과 내수가 차츰 회복되면서 내년 우리 경제가 2.3% 성장할 것이라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의 전망이 나왔다. 이는 지난 9월 전망치보다 0.2%포인트(p) 오른 수치다.

다만 OECD는 최근 더딘 우리나라 소비자 물가 둔화 속도를 반영해 물가 상승률 전망도 높였다. 올해 3.6%, 내년 2.7%로, 지난 전망 대비 0.2%p, 0.1%p씩 올랐다.

29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OECD는 이날 이같은 내용의 경제전망을 발표했다.

◇OECD, 내년 韓 성장률 0.2%p↑…中 성장 전망 상향에 반도체 회복 기대

OECD는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이 올해 1.4%, 내년 2.3%, 2025년 2.1%로 가는 경로를 거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올해 성장 전망은 지난 전망 시점보다 0.1%p 낮아졌지만, 내년 전망은 0.2%p 높아졌다.

OECD의 이같은 전망에는 올해 어두운 우리 경제가 내년으로 갈수록 내수와 수출 회복에 힘입어 양호해질 것이라는 분석이 깔렸다.

OECD는 "내수 측면에서 채무 원리금 상환 부담과 물가 상승이 소비·투자에 단기적으로는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면서도 "내년 하반기로 가며 내수 기반이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수출에 대해선 "반도체 수요 회복 등에 힘입어 저점을 통과하면서 회복의 조짐이 확대되고 있다"며 "향후 수출 개선세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했다.

이번 OECD 경제전망의 한 가지 특징은 내년 세계 성장률 전망(2.7%)은 그대로인 반면 한국 전망치는 올랐다는 점이다.

주요 교역상대국인 중국 경기지표가 최근 시장의 우려보다 양호한 모습을 보이는 등 내년 중국 성장률 전망치가 상향 조정(4.6→4.7%)된 데다, 최근 반도체 등 IT 업황 회복과 향후 개선 기대가 두루 반영된 결과다.

기재부는 "주요 20개국 중 내년 성장률이 9월 중간전망 대비 0.2%p 이상 오른 국가는 우리나라와 미국, 튀르키예, 러시아 등 4개국에 불과하다"고 설명했다.

또 내년 세계경제와 대부분 주요국 성장률은 올해 보다 하락하는 반면 우리나라는 개선되는 셈이기도 하다.

OECD는 전세계 경제가 올해 2.9%에서 내년 2.7%로 0.2%p 떨어질 것이라고 예측했다. 미국(2.4→1.5%)과 프랑스(0.9→ 0.8%), 스페인(2.4→1.4%) 등 서비스업 중심 국가의 성장률도 올해보다 둔화되는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우리나라를 비롯해 독일(-0.1→0.6%), 네덜란드(0.2→0.5%) 등 제조업과 수출 의존도가 높은 국가는 내년 경제가 나아질 것으로 봤다. 이번 전망에 글로벌 교역 회복에 따른 수출 개선 효과가 반영됐기 때문이다.

◇내년 물가 전망 0.1%p 상향한 2.7% 제시…"2025년 가서 2% 목표 수렴"

OECD는 우리나라 물가 상승률이 올해 3.6%를 거쳐 내년 2.7%까지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 더뎌진 물가 둔화 속도를 반영해 지난 전망 대비 0.2%p, 0.1%p씩 올렸다.

OECD는 에너지와 먹거리 가격이 소비자 부담 요인이지만 물가 상승률이 점차 하락하면서 2025년(2.0%)에는 우리나라 물가 상승 목표치(2%)에 근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기재부는 내년 물가 전망에 대해 "주요 20개국(5.8%) 및 경제협력개발기구(5.3%) 평균을 크게 하회하며, OECD 38개 회원국 중 7번째로 낮다"며 "글로벌 비교 시 상대적으로 양호하다"고 했다.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탑골공원에서 한 어르신이 산책을 하고 있다. 2023.7.25/뉴스1 ⓒ News1 이재명 기자

◇OECD, 韓 정부에 "재정 건전성 제고하고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해야"

OECD는 한국경제 하방 요인으로 국제금융시장 불안 확대에 따른 원리금 상환부담 가중 우려와 지정학적 긴장 고조 시 공급망 불안 가능성을 제시했다.

상방 요인으로는 예상보다 강한 세계경제 회복세와 지정학적 긴장 완화 등을 언급했다.

OECD는 우리 정부에 대해 "빠른 고령화와 이에 따른 연금·보건 분야 지출 부담을 감안해 재정준칙을 시행하는 등 재정건전성 제고가 긴요하다"고 강조했다. 복지 정책의 경우 취약계층을 직접 겨냥한 선별적 지원 방식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했다.

OECD는 이밖에 △규제 혁신 △중소기업 지원방식 등을 통한 대·중소기업 생산성 격차 완화 △노동시장 이중구조 해소 필요성 △일·가정 양립을 위한 정책 추진 △에너지 절약을 위한 인센티브 제고 등을 강조했다.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kys@news1.kr